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생분해성시험 (生分解性試驗, biodegradability test) |
☞ 생분해성생산량 (生産量) |
원수취수량중 유효무수량과 무효량을 제외한 순수하게 가정집에 배수한 양을 말하는 것임.생산용수비율 (生産用水比率) |
정수장에서 취수된 총 원수량에 대한 정수생산을 위해서 직접 소요된 수량의 비율을 말함.생산원가 (生産原價) |
수돗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으로 물을 관리하고 있는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생산원가를 분담하고 있음.생산자 (生産者, producer) |
생태계의 구성생물군의 하나로,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을 생산하는 생물. 광합성을 하는 것과 화학합성을 하는 것이 있음. 일차생산자 혹은 기초생산자라 함.생산층 (生産層, productive zone) |
호수 등의 수면에서 일보상심도(日補償深度)까지의 층. 유광층인 상부로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충분한 빛이 있는 층. 분해층의 반대말. 이 층에서는 수면에서의 광량이 많고, 광합성에 따른 1차 생산이 활발함. 광합성에 따른 유기물의 생산량이 호흡에 따른 유기물의 분해량을 웃돌기 때문에 생산층이라 부름. 그러나 이보다 낮은 층에서는 1차생산량이 적고, 분해량이 생산량을 밑돌기 때문에 분해층이라고 부름. 이 경계에 해당하는 심도를 일보상심도(日補償深度)라고 함.생산효율 (生産效率) |
정수장에서 취수된 총원수량에 대한 정수를 생산하여 송수 공급된 양의 비율을 말함.생석회 (生石灰, caustic lime) |
산화칼슘(). 백색부정형의 고체로 물과 반응하면 고열을 발생하며 소석회()로 변함. 수도에서의 용도는 소석회와 같지만, 생석회는 작업성이 나쁘고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는 등 저장에도 문제가 있으므로, 수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석회가 사용됨.생석회파일공법 (生石炭-工法, chemico-pile method) |
지반개량공법의 일종으로 생석탄의 특성을 활용하여, 수화 반응에 의해 흙속의 수분을 증발 흡수하거나 또는 생석탄파일의 팽창에 의해 연약한 지반을 압축해 지반을 강화, 안정시키는 공법.생슬러지 (生汚泥, raw sludge) |
침전지에서 막 빠져나와서 슬러지처리의 과정을 아직 거치지 않은 슬러지. 함수율 98~99%정도의 처리수량의 약 1~2%가 발생함. 또 침전슬러지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어 지는 경우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