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생물학적처리 (生物學的處理, biological treatment) |
하수속의 오염물질을 미생물의 생물학적작용에 의해 분해, 안정화하는 처리방법. 호기성처리와 혐기성처리로 구별됨. 일반적으로는 유기물은 산소호흡, 질산호흡, 발효과정 등으로 분해되어 가스화 되거나 미생물의 체내에 흡수되어 슬러지로서 제거됨. 질소(질산화탈질법)나 인(생물학적인제거법)의 처리에 적용.생물학적탈질법 (生物學的脫窒法, biological denitrification process) |
유리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무산소 조건에서, 통성혐기성세균인 탈질세균(Pseudomonas, Micrococcus 등)이 아질산성질소, 질산성질소를 환원하여 질소가스로서 공기중으로 방출하여 질소를 제거하는 방법. 통상 암모니아성질소를 산화하는 질산화공정과 짝을 지어 생물학적탈질법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음. 일반적으로 탈질공법에 있어서 유기물이 수소공여체로서 소비되므로, 무산소조에 하수 또는 메탄올 등의 유기물을 주입할 필요가 있음.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生物化學的酸素要求量,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
용존 산태로 존재하는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분해시켜 안정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산소량을 말하며, 물의 오염상태를 표시하는 지표의 하나이기도 함. 20℃에서 5일간 소비하는 산소량을 표준으로 한다(5일 BOD=BOD5). 일반적으로 호기성미생물이 유기물의 90%를 분해하기 위해서 20℃에서 12~14일이 걸리며, 그 뒤 질산화세균에 의한 암모니아성 질소 등의 산화가 시작된다고 알려져 있음. 제 1단계의 BOD를 C-BOD, 제 2단계의 BOD를 N-BOD라고 구별하여 사용함. 그러나 질산화세균이 충분히 존재하는 경우에는 유기물의 산화와 질소의 산화는 동시에 일어남.생물화학적처리법 (生物化學的處理法, biochemical treatment process) |
☞ 생물처리법생물활성탄 (生物活性炭, biological activated carbon) |
입상활성탄 층에 미생물을 번식시켜 흡착과 생물처리의 양쪽의 기능을 겹치게 한 것. 층 내에 번식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용존 유기물의 직접적인 생물분해와, 활성탄에 흡착한 유기물의 생물분해가 행해져 통상의 입상활성탄 처리보다도 흡착수명이 크게 길어진다고 알려져 있음. 또 암모니아성질소의 질산화가 가능한 것도 특징임.생물활성탄시설 (生物活性炭施設, biological activated carbon facility) |
고도정수처리에 있어서 생물활성탄시설은 오존처리시설과 병행하여 입상활성탄시설을 설치함으로써 오존처리시설에서 유기물질을 산화분해 시킨 후 입상활성탄 내부의 세공에 생장시킨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질을 분해하도록 하고, 유해물질의 흡착도 이루어지게 하는 시설을 말하는 것으로 재생주기는 2~3년 정도임.생물활성탄여과 (生物活性炭濾過, biological activated carbon filtration) |
☞ 생물활성탄처리생물활성탄처리 (生物活性炭處理, biological activated carbon treatment) |
전(前)염소처리, 중간염소처리를 하지 않는 입상활성처리에서는 미생물이 활성탄층에서 증식함. 이러한 상태의 활성탄을 생물활성탄(BAC)이라고 함. 흡착뿐만 아니라 생물에 의한 처리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생물활성탄처리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뿐만 아니라 생물분해성 유기물 제거도 기대할 수 있음. 제거메카니즘은 액체로부터 생물로 직접 흡수ㆍ분해하는 것과 흡착한 물질을 직접 또는 탈착 후 분해하는 등을 생각될 수 있으나, 충분히 규명되어 있지 않음.생물흡착 (生物吸着, biosorption) |
활성슬러지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흡착, 빨아들이는 현상. 액체에서 고체(슬러지)로 이동하는 반응과, 고체로 옮겨진 기질이 미생물에 의해 대사되어 생물체나 에너지에 변환되는 반응, 2개의 단계로 크게 구별할 수 있음.생분해성 (生分解性, biodegradability) |
화학물질은 빛, 열 등에 의해서 분해되지만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도 많음.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질의 분해를 생분해라고 하며 그 정도를 생물분해성이라고 하고 생분해성을 조사하는 시험을 생분해성시험이라고 함. 생분해성 시험에는 이분해성 시험, 본질적 분해성 시험, 시뮬레이션 시험의 세 가지가 있음. 생분해성에 있어서는 분해속도, 분해성물질의 종류 확인이 중요함. 화학물질의 농도가 감소하더라도 최종분해생성물이 이산화탄소, 물, 암모니아와 같은 무기물질로 되어있지 않는 경우는 분해가 불완전한 것으로 보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