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생물여과 (生物濾過, biofiltration; biological filtration) |
완속여과지의 모래층표면에서 발생하는 생물여과막과 같이 막을 형성하고 있는 생물에 의해서 용해성 유기물과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방법. 생물막여과라고 함.생물여과막 (生物濾過膜, biofilteration membrane) |
완속여과지의 모래층표면에 자연발생적으로 생기는 조류, 세균, 진균 등의 생물에 의하여 만들어진 점성질의 막. 생물여과법의 여재표면에 발생하는 같은 모양의 막을 말함.생물장애 (生物障害, biological fouling) |
수처리 과정에서 생물이 원인이 되어 생기는 장애. 조류, 세균류, 절족동물(節足動物), 빈모(貧毛)류 등이 원인이 됨. 예를 들면, 수원에서의 조류의 이상증식에 의한 냄새의 발생, 여과층에서의 조류 누출, 철박테리아의 플록에 따른 적수(赤水), 세균류에 따른 슬라임과 스컴형성 등이 있음.생물재생 (生物再生, biological regeneration; bioregeneration) |
활성탄층에서 증식한 미생물이 흡착된 물질을 분해ㆍ제거하여 활성탄의 흡착력을 회복하는 과정. 확립된 재생방식이 아니며 특히 수처리에서는 그 기구와 능력 등도 명확하지는 않지만 생물활성탄처리에서는 생물재생의 효과에 의해서 활성탄의 수명이 연장된다고 생각하고 있음.생물접촉산화법 (生物接觸酸化法, biological contact oxidation process) |
폭기조 내에 고정된 담체를 넣고 아래쪽에서 공기를 불어 담체에 붙어있는 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생물 산화 처리하는 방법. 생물접촉산화처리, 접촉산화처리. 접촉산화법, 또는 접촉기법이라고 함.생물접촉여과법 (生物接觸濾過法, biological contact filtration process) |
호기성 생물을 부착ㆍ육성시킨 접촉재를 충진시킨 탑에 원수를 상향류 또는 하향류로 흘려주고 미세공기로 산소를 보충하여, 유기물과 생물을 접촉시키는 생물막법의 한 종류.생물지수 (生物指數, biotic index, BI) |
하천의 생물수준을 표시하는 수치. 하천의 생물수준을 표시하는 수치로 수질을 판정하는 지표로서 이용됨. Beck-Tsuda법에서는 육안적 동물을 오염내구종(B)과 비내구종(A)의 2군으로 나누어, 각 지점에서의 종류 수의 합 2A+B의 수치를 생물지수라 함. 오염이 심하면 종류 수는 적어지고, 맑은 물에서는 종류가 다양하므로, 지수가 적은만큼 수질이 오염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음.생물지표 (生物指標, biotic indicator; biological index) |
생식하는 생물의 종, 양 및 그 존재상태의 변화 등 환경변화의 양과 질을 반영하는 생물적 현상. 환경의 상태변화를 어느 정도 직접적으로 반영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누적 또는 평균적인 변화의 결과를 알 수 있으나, 화학적 지표와 비교하여 정량화(수량적 표현)가 곤란하여 재현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음. 그러나 화학적 지표에서는 취급하지 못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양자를 동시에 평가하는 것으로 환경의 상태변화의 전모를 밝힐 수 있음. 어떤 특정 조건의 환경(예를 들면, 수질의 오염도)에 있는 생물을 지표생물이라고 함.생물처리법 (生物處理法,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
생물, 주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수중에 포함된 각종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생물화학적 처리법이라고도 함. 생물산화처리법은 호기적 조건에서의 생물처리법. 정수처리에 있어서 제거대상물질로는 각종 유기물, 암모니아성 질소, 냄새, 철, 망간 등이 있음. 폐수처리에 있어서는 활성오니법 등의 부유생물처리법도 사용되지만 상수원수의 처리에서는 수중의 유기물 농축도가 낮기 때문에 주로 생물막법이 사용됨. 완속여과에 있어서는 사층에서 발달한 생물막이 이용되고 있으나 원수수질의 악화와 함께 침지여상법, 생물접속여과법 등이 적용될 수 있음.생물탈취 (生物脫臭, biological odor control) |
악취물질을 미생물의 활동으로 흡착 및 산화 분해시키는 방법. 토양법, 폭기법, 충전법 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