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샘물 |
암반대수층안의 지하 또는 용천수 등 수질의 안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자연상태의 깨끗한 물을 먹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원수를 말함. (먹는물관리법제3조)샘플링 (sampling) |
어떤 대상물의 특성을 알기 위한 목적으로 조사 또는 시험을 하기 위해 그 대상물의 일부분을 채취하는 것. 예를 들면, 어느 합금재료의 조성을 알기 위해 그 소량을 깎아내는 것 등. 이와 같이 하여 채취한 것이 시료(sample)이며 시료는 지금 문제 삼고 있는 특성에 관해서 대상물 전체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면 안됨.생균수 (生菌數, total viable bacterial count) |
일반적으로 생균이란 증식가능한 상태로 존재하는(살아있는) 세균. 한천배지에서 집락을 형성하거나, 액체배지에서 혼탁 등의 증균현상을 나타내는 것 외에 각각의 세균세포 수준에서 생육활성을 보이는 것을 모두 포함함. 상수시험방법으로는 모든 세균 가운데 효모엑기스와 날리딕스산(nalidixicacid)을 포함하는 재배지로 배양할 때 세포가 증대하는 것을 말함.생균수측정법 (生菌數 測定法, aerobic viable count; viable cell count; standard plate-counting method) |
시료 중에 발생한 세균의 수를 측정하는 방법. 희석법, 평판배양법, 멤브레인필터(membrane filter)법이 주방법임.생리식염수 (生理食塩水, physiological salt solution) |
적출한 기관이나 조직을 얼마간 살려두기 위한 용매로서, 체액 성분과 비슷하게 만들어진 식염용액, 항온동물에는 0.9%의 것이 사용되고 있음.생물검정 (生物檢定, bioassay) |
기존에 알려져 있거나 아직 알려지지 않은 물질의 생물에 대한 영향과 효과, 또는 그것의 유무나 존재량을 생물의 반응(생동변화, 자극반응, 마비, 치사 등)에 따라 검출 또는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시험방식. 생물정량법, 또는 bioassay라고 부르고 미생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생물검정(미생물정량)이라고 함. 유독물질과 비타민, 호르몬 등의 생리활성물질의 생체영향을 평가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실험이며 화학분석이 곤란한 미량물질과 혼합물 또는 복합영향에 대한 평가에도 사용됨. 수도에서는 어류를 이용한 원수 및 정수 중의 독극물에 대한 감시를 하는 곳이 있는데, 이것도 bioassay의 하나임.생물검정법 (生物檢定法, bio-assay) |
물질의 성질을 판정하는 한 방법. 생물에 어떠한 물질을 주었을 때 생물이 나타내는 반응을 관찰함으로서 그 물질을 판정하는 시험법.생물경보체제 |
중금속ㆍ독극물 등에 의해 상수원등이 오염되었을 때 즉각 이를 감지하여 경보를 내리는 수질측정망이라 할 수 있으며, 바이오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불리는 이 생물경보체제의 주인공은 바로 물고기와 물벼룩임.생물공학 (生物工學, biotechnology) |
생물학적인 과정의 지식과 방법을 기술적인 과제의 해결에 응용하는 과학.생물군집 (生物群集, biotic community) |
일정 지역에서 생활하는 모든 생물개체군(일정 지역에서 생활하는 개체의 모임)의 모임. 식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식물군락이라고 함. 생물군집은 생활양식에서 생산자로서의 녹색식물, 소비자로서의 동물, 분해자로서의 세균류와 균류 등 세 무리로 나뉨. 각 개체군은 생물연쇄를 통해서 복잡한 생물망을 구성. 생물군집 중에서 개체군이 가지는 역할을 생태적 지위, 생물군집을 나타내는 외관적인 특징을 상관(相觀)이라고 부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