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산화환원반응 (酸化還元反應, oxidation reduction reaction) |
일반적인 의미의 산화환원반응과, 이온의 입장에서 본 산화환원반응이 있음. 수처리의 경우에 일어나는 산화환원반응은 후자(後者)에 속함. 이온이 양전하를 증가시키거나 음전하를 잃는 것을 산화라고 하며 그 역(逆)을 환원이라고 함.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은 동시에 일어남. 크롬폐수 중의 6가크롬을 환원제로서 3가로 만드는 것은 환원반응이 되며, 이 경우 첨가한 환원제 그 자신은 산화반응을 받아 분해됨.산화환원전위 (酸化還元電位,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 redox potential) |
가역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산화체와 환원체를 포함한 용액에 불용성 전극을 넣었을 때 극과 용액 사이에 생기는 평형전극전위로서 용액의 산화력 또는 환원력의 강도를 나타내는 양. 살아있는 세포에서는 호기적인 것의 전위가 높고 혐기적인 것의 전위는 낮음. 가수분해효소와 세포의 동화능력, 미생물의 생육 등도 산화환원전위의 영향을 받음.산화환원평형 (酸化還元平衡, oxidation-reduction balance) |
생체 내의 반응에서 산화력과 환원력의 평형이 잡혀있는 것. 호기성 조건의 반응에서는 산소가 산화력으로서 작용하는데, 이 때 소비되는 산소의 양은 환원력, 즉 산화분해되는 유기물의 양과 균형이 잡혀있음. 이와 같은 산화력과 환원력의 평형은 호기성뿐 아니라 무산소와 혐기성 조건에서도 성립함.산화환원효소 (酸化還元酵素, oxidoreductase) |
생체물질의 합성, 대사 등을 위해서 유기물 및 무기물의 산화환원반응을 촉매로 하는 효소의 총칭. 산화환원의 양식에 따라 산화효소나 환원효소로 나누어짐. 발효, 해당작용 외에 생체의 호흡이나 에너지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함.살균 (殺菌, sterilization; pasteurization) |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류 등의 미생물의 생활력을 없애기 위하여 세균이면 세포막을 파괴하거나, 바이러스이면 핵산을 파괴해서 불활성화시키는 것. 미생물을 완전히 손상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살균처리 후에도 다시 미생물이 증식할 수도 있음.살균온도 (殺菌溫度, sterilization temperature) |
막의 열 멸균을 행할 목적으로 단시간에 한정하여 막 등에 거는 온도로 최고 사용온도 보다는 높음.살균율 (殺菌率, inactivation rate) |
수처리에서의 소독효과판정에 이용되는 용어로 어떤 소독조작에서 감소한 미생물의 비율. 통상 소독전과 소독후의 미생물수의 차를 소독 전의 미생물수로 나눈 것을 백분율로 나타냄.살균폐수 (殺菌廢水, sterilized waste water) |
모든 세균을 사멸시킨 유출수.살모넬라 (salmonella) |
수인성 병원균으로 장내에 세균을 발생시기도 함. 건강상 영향으로는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등을 유발하기도 하며, 수돗물의 수질기준에는 없으나, 먹는샘물(생수)의 수질기준에는 시료 250ml에 검출되어서는 안됨.살수강도 (撒水强度, hydraulic intensity) |
살수여상 면에 순간적으로 살포되는 하수량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1초간에 여상에 살포되는 하수량을 살포되는 면적으로 나누고, 그 몫으로부터 24시간분의 하수량을 구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의 단위가 쓰이고 있음. 여상 내로 유하하는 하수는 살수강도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그 한계치는 여제직경 25, 50, 75mm에 대하여 각각 180, 210, 240로 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