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빈모류 (貧毛類, oligochaeta) |
환형동물문의 하나의 강(綱). 지렁이류. 몸은 길고 횡단면은 원형(드물게 背腹이 扁平)으로, 체절제는 내외 모두 명료하며, 체강(體腔)은 격벽에 의하여 칸칸으로 되어있음. 우족(疣足)은 없고 강모는 다모류에 비하여 상당히 적으며, 구조도 단순하며, 각 체절의 체벽에 일정한 배열로 접함.빈부수성 (貧腐水性, oligosaprobic) |
4단계로 분류된 오수 생물계열의 하나로, 가장 오염이 적은 수역에 적용되는 계급.빈부수성생물 (貧腐水性生物, living organisms of oligosaprobien) |
수질의 상태에 따라 생물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이 중 맑은 물을 좋아하는 생물로서, 어류에는 가재, 은어 등이 이에 속함.빈부수성수역 (貧腐水性水域, oligosaprobien) |
수질에 따라 분류되는 수역으로 오염되지 않은 천연수역을 말함.빈산소괴 (貧酸素塊) |
수질계에 유기물이나 영양 염류가 대량 흘러들어 부패 또는 플랑크톤의 이상번식으로 산소가 적어지면서 생기는 수괴를 말함. 적조, 청조의 원인이 되며 상수원이나 어패류에 막대한 피해를 끼침. 특히 여름철에 잘 나타남.빈영양 (貧榮養, oligotrophy) |
영양도가 낮은 수준으로 식물의 유기물 생산을 유지하는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염류의 공급이 적은 상태.빈영양호 (貧榮養湖, oligotrophic lake) |
호소(湖沼)를 생산성으로 분류했을 때, 생산성이 낮은 상태에 있는 호(湖)를 말함. 일반적으로, 수심은 깊고 호폭은 좁으며, 심수층은 표수층에 비해서 용량이 큰 형태를 가짐. 수질적으로는 명료한 정의는 내릴 수 없지만, 물색은 맑은 남색이나 청색을 띠고, 투명도는 5m이상인 경우가 많으며, 현탁물질이 적음. 영양염류는 대체로 질소 0.2mg/L이하, 인 0.02mg/L이하 수질이고, 생물군집은 종류는 많지만 수는 적은 것이 특징임.빌지배수 (-排水, bilge water) |
본래의 의미로는 선박의 만곡부(bilge)나 배바닥의 bilge well에 체류하는 오수 및 배수를 지칭. 넓은 의미로는, 건축물의 저부(底部)에 모이는 배수도 포함해서 말하는 경우도 있음.빌지펌프 (bilge pump) |
원래 선박의 바닥에 고인 물을 배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배수펌프. 일반적으로 지하실의 각종 오수의 배출용 펌프.빔 (beam) |
건축물 시공시 건물의 기둥, 지붕 등을 구성하는 구조물로써 주로 강재료가 많으며, 최근에는 시공이 간편하여 사용하는 추세가 높아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