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불연속점 (不連續点, breakpoint) |
☞ 불연속점염소처리법불연속점염소처리법 (不連續点塩素處理法, breakpoint chlorination) |
암모니아를 포함한 물에 염소의 주입량을 증가시켜 가면 잔류염소량이 증가하나 어떤 점에 도달하면 급속하게 감소하고, 결국 다시 증가함. 이러한 형태로 최저점을 표시하는 점을 파과점 혹은 불연속점이라고 함. 이 불연속점 이상에 염소를 주입해서 물을 처리하는 방법을 불연속점염소처리법이라고 함. 불연속점을 넘어 보다 더 유리(遊離)잔류염소가 과잉이 되도록 주입하는 것을 과잉염소처리라고 함. 과잉염소처리에 의해서 수돗물에 다량의 잔류염소가 존재할 때는 활성탄, 아황산가스, 아황산나트륨 등으로 탈(脫)염소를 하여야 함.불완전관입정 (不完全貫入井, incomplete penetration well) |
스크린이 대수층 전층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지 않고, 대수층 일부에서 취수하는 정호를 일컫는 말. 부분관입정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 이에 대해서 대수층 전층에서 취수하는 정호를 완전관입정 혹은 단순히 완전정이라 부름. 불완전관입정은 완전관입정에 비하면, 집수효율이 나쁨.불완전균류 (不完全菌類, imperfect fungi; Deuteromysetesm Deuteromycotina) |
균류 진핵균아계(亞界)의 한 문(門). 균류의 계통 분류의 기준이 되는 유성생식시대(완전시대)가 불명하여 무성시대(불완전시대)만 알려져 있는 균. 대개는 분생자(分生子)라는 무성포자를 형성하여 번식. 그 형태로 보아 대부분이 자낭균류계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담자균류계의 것도 있음.불침투역 (不浸透域, impervious area) |
배수구역에서 우수가 침투하지 않는 부분. 포장도로, 지붕 등이 불침투역임.불투수층 (不透水層, impermeable layer) |
지하수가 침투하기 어려운 지층으로 실트, 점토, 암반 등이 이에 해당함. 투수계수(透水係數)로는 10㎝/s정도를 투수층과 불투수층의 경계로 사용하기도 하나 엄밀한 규정은 없음.불포화대 (不飽和帶, unsaturated zone) |
지표면과 지하수 포화대의 사이에 있고 완전히 물로 채워지지 않은 부분. 흙 입자의 틈은 공기와 부분적으로는 물로 채워져 있고, 이 물은 토양분이라고 불림. 불포화대는 공기가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통기대(通氣帶)라고도 함. 불포화대는 다시 상부부터 토양수대(土壤水帶), 중간대, 모세관대로 나뉘어짐.불확실계수 (不確實係數, uncertainty factor) |
화학물질의 독성시험에서 얻은 최대무작용량(NOAEL) 또는 최소작용량(LOAEL)에서 사람의 내용(耐容) 1일섭취량(tolerable daily intake TDI)을 구하는 경우에, 동물시험방법이나 자료의 완성도, 동물과 사람과의 감수성이나 개체차의 다름과 같은 여러 가지 불확정 요소를 고려한 보정계수로, 다음 식에서와 같이 이용됨. TDI=(NOAEL 또는 LOAEL)/불확실계수(UF). 안전율이라고도 하며, 100 또는 그 이상의 수.불활성가스 (不活性-, inert gas) |
화합물을 만들기 어려운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기체. 보통 질소 등 반응성이 극히 작은 기체도 포함됨.불활성화 (不活性化, inactivation) |
바이러스가 감염력 또는 증식력을 상실하는 것. 불활성화 수단으로는 열, 초음파, 자외선과 같은 물리적 조작과 오존, 염소 등의 약품을 사용하는 화학적 조작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