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불검출 (不檢出, ND) |
수질분야에 있어서 정량한계에 미만인 경우를 불검출이라 하며, ND(Not Detected)로 표기하기도 함.불균일계반응 (不均一系反應, heterogeneous reaction) |
예를 들면 고체와 액체, 기체와 액체라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상의 반응물에 의한 반응. 양자가 접촉하는 계면에서 반응이 진행됨.불꽃반응 (-反應, flame reaction) |
홑원소물질 또는 화합물이 불꽃 속에서 그 원소 특유의 색을 보이는 반응. 염색반응(焰色反應)이라고도 함. 19세기 초부터 나트륨화합물이 보이는 황색 불꽃을 이용하여 정성분석이 행하여졌음.불량채무 (不良債務, bad debt) |
기업의 채권과 채무의 관계에 결함이 발생하여 기업이 자금적으로 부족하고 계속성이 저해된 상태. 불량채무는 (유동부채-일시차입금)-(유동자산-익년도조월재원)의 식으로 구할 수 있음. 이것이 보충되지 않는 경우는 기업의 자금조달이 장기적으로는 불가능함. 불량채무는 누적결손금과 함께 기업의 재정운영상의 보강되어야하는 결손분임.불소 (弗素, fluorine) |
원소기호불소시험법 (弗素試驗法, fluorine experiment method) |
라틴과 알리자린 콤프렉손과의 착화합물이 불소 이온과 반응하여 생성하는 청색의 복합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620nm에서 측정하는 흡광광도법(라탄-알리자린 콤프렉손법)으로, 시험 방법은 전처리한 시료 30mL 이하(불소로서 0.05mL 이하 함유)를 50mL 용량의 플라스크에 취하여 라탄-알리자린 콤프렉손 용액 20mL를 넣고 물을 가하여 표선까지 채우고 흔들어 섞은 다음, 약 1시간 방치함. 이 용액의 일부를 층장 10mm 흡수셀에 옮겨 6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미리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불소 이온의 양을 구하고 농도(㎎/L)를 산출함.불소제거법 (弗素除去法, fluoride removal) |
음료수안에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불소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활성알미나법, 골탄법(骨炭法), 전해법(電解法) 등이 있으며, 어느 쪽의 방법도 처리효율이 낮기 때문에 원수의 불소농도가 높은 경우는 원수를 전환(轉換)하는 것이 바람직함.불소처리 (弗素處理, fluoridation) |
상수에 불소를 첨가해서 집단적으로 충치를 예방하는 것. 1945년 미국 미시간주 Grand Rapids시를 시작으로 3개시에서 실행. 본법을 추진하는 국가와 부정적 입장을 취하는 국가가 있음.불소처리기원 (弗素處理起源) |
수돗물에 불소처리의 기원은 20세기 초 미국 콜로라도주 온천지역에 대한 조사에서 알려지게 되었으며,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1945년 미국 뉴욕주의 뉴버크시와 미쉬건주(州)의 그랜드피그시,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뉴버크시에서 처음으로 시작하였음.불소화사업 (弗素化事業) |
수불화사업이라고도 하며, 적정량의 불소를 우리가 마시는 수돗물에 넣어 치아우식증(충치)을 예방하는 사업을 말함. 즉 정수장에 불소투입기를 설치하여 수돗물에 일정한 농도의 불소를 자동적으로 투입하여 치아우식증을 예방토록 하는 것으로, 약 50년 전부터 여러나라에서 실시해 오고 있으며,[1945년 미국(뉴욕,미시간) 및 캐나다(온타리오)일부에서 처음실시], 세계 61개국에서 현재 실시중이며, 우리나라는 ‘81년 4월에 진해시, ’82년 2월 청주시, ‘94년 12월 과천시에서 실시하고 있음. ’95년 1월 5일 국민건강증진법제 18조(구강 건강사업)에 「수돗물에 대한 불소화사업」이 제정되었으나, 아직까지 사업내용, 기준, 방법 등의 구체적인 사항은 정해져 있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