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부식전위 (腐蝕電位, corrosion potential) |
전해질에서 부식이 되면 부식전지의 형성에 의해 금속에 전류가 흐르고 분극(分極)이 생김. 전류가 증가하면 음극(cathode)의 전위가 하강하고, 양극(anode)의 전위가 상승하여 결국에는 양극의 전위는 같아짐. 그 때의 전위를 부식전위라 하고 자연상태에서의 부식전위를 자연부식전위라고 함. 부식전위의 수치는 금속과 전해질용액과의 전위차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극전위를 일정하게 한 조합전극(照合電極)을 사용해서 금속의 전위와 조합전극의 전위와의 전위차를 측정해서 나타내는 것이 보통임. 조합전극에는 수소전극(水素電極), 포화염화제일수은전극(飽和塩化第一水銀電極), 염화은전극(塩化銀顚極), 황산구리전극(硫酸銅電極) 등이 있으나 사용하는 전극에 의해서 부식전위의 수치가 다르기 때문에 전위표시에는 사용한 조합전극을 명시해야 함.부식토 (腐植土, humus) |
생물체가 분해하여 썩은 것과 흙 입자가 혼합된 흙.부압 (負壓, negative pressure; negative head) |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은 정압이라고 함.부엽식물 (浮葉植物, floating (-leaved) plant) |
고착성수중식물 가운데 뿌리는 수저(水底)에 고정되어 있고, 잎이 수면위에 떠있는 식물로 가래, 마름, 수련, 어리연꽃 등이 있음.부영양 (富榮養, eutrophy) |
영양도가 높은 수준으로, 식물의 유기물 생산을 지원하는 질소나 인 같은 영양염류의 공급이 많은 상태. 식물 플랑크톤 등의 대량증식에 의하여 유기물이 생산되며, 수질(COD 등)이 악화됨과 동시에, 적조, 수화 등의 발생에 의한 피해가 생길 수도 있음. 공급되는 영양염류에는 자연적인 것과 영양염류를 다량 함유하는 폐수의 유입에 의한 인공적인 것이 있음.부영양호 (富榮養湖, eutrophic lake) |
영양도에 의하여 분류된 호수 형태의 하나. 영양염류의 농도가 높고 식물 플랑크톤을 비롯한 생물생산 활동이 활발한 호수. 수화(water bloom), 적조 등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호수의 대부분은 부영양호로 분류됨. ☞ 중영양호(中榮養湖), 빈영양호(貧榮養湖)부영양화 (富榮養化, eutrophication) |
강, 바다, 호수에서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함으로써 영양물질이 많아지는 현상. 강, 바다, 호수나 연안에 아질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인산염, 규산염 등의 유기물 염류가 흘러들어 물속에 영양물질(질소, 인)을 방출함. 영양물질이 풍부한 물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과 번식이 매우 신속하게 진행되므로 며칠안으로 맑은 물이 검푸른색의 물로 변함. 이렇게 갑작스럽게 대량의 식물플랑크톤이 나타나는 것을 적조현상이라고 함.부영양화방지대책 (富榮養化防止對策, measures against eutrophication; eutrophication control) |
수역의 부영양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수역에 있는 점오염원이나 면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물이나 영양염의 오염부하량을 파악하고,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까지 오염부하량을 삭감하는 등의 종합적인 대책. 하수도사업에 있어서도 하수도정비 이외에 고도처리의 도입, 방류선 변경, 우수배수나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부영양화지수 (富榮養化指數, trophic state index; eutrophic index) |
부영양화의 진행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parameter)를 일컫는 말. 투명도, COD, DO, 유화수소, 클로로필, 동물플랑크톤 및 식물플랑크톤의 양, 총질소, 전인, 부유성세균의 전균수, 유기영양세균이 생균수 등 여러 가지가 파라미터로서 이용됨.부용 (bouillon) |
고기액기스, 펩톤 및 염화나트륨으로 만든 세균 배양액. 부용에 한천을 첨가하여 고화시켜 한천배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