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비유량 (比流量, specific discharge) |
하천의 어느 지점에서 단위 유역면적당 유량. 유역면적이 클수록 유역내의 평균 강우강도는 작게 되므로, 유역면적이 클수록 비유량은 감소함. 좁은 의미로는 홍수비유량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단위는 로 표시함.비율제어 (比率制御, current proportion control; flow pacing control) |
어떤 액체 A에 대해서, 다른 액체 B를 일정비율로 주입하는 제어방식으로, 2개 이상의 양(量) 사이에 어떤 비율관계를 유지하게 하는 제어를 일컫는 말. 이 제어계는 비율설정부와 유량제어부에 의해 구성됨. 비율설정부에서는 A유량신호에 비율연출을 실시해 유량제어부로 입력하고 유량제어부에서는 비율설정부로부터의 신호를 목표치로서 B의 유량을 제어함.비율차동계전기 (比率差動繼電器, ratio differential relay) |
2개 또는 2개 이상의 동상, 동종 전류의 벡터차(차전류)와 출입하는 전류(부하전류)와의 비율이 예정치(%)를 초과하였을 경우에 작동하는 계전기를 말하며, 발전기, 변압기 등의 내부고장 보호용으로 사용됨.비의도적생성화학물질 (非意圖的生成化學物質, unexpectedly-produced chemical substance) |
어떤 목적을 가지고 실시한 화학적 조작에서 의도와는 달리 생성되는 화학물질. 물의 소독 과정에서 생성되는 트리할로메탄 등의 유기염소화합물 또는 소각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이옥신류 등은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대표적인 물질임.비이온계면활성제 (非-界面活性劑, non-ionic surface active agent; non-ionic surfactant) |
수용액 중 해리하는 관능기를 가지고 있지 않는 계면활성제를 말하며, 이온적으로 중성인 활성제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류 등이 있음. 최근에는 일부 비이온계면활성제의 분해 생성물인 노닐페놀 등이 환경호르몬으로 지적되고 있음.비이온계폴리머 (非-界-, nonionic polymer) |
☞ 고분자응집제(高分子凝集劑)비저항 (比抵抗, specific resistance) |
① 폐수처리에서 농축 슬러지를 탈수할 때, 케이크층과 여재(濾材) 저항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탈수성을 조사하는 데는 실용기(實用機)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불가능한 경우는 리프테스트 등의 방법으로 비저항을 구하고, 설계 시 참고로 함. 비저항치가 크면 여과저항이 큰 것을 의미하고, 탈수성이 악화되는 것을 의미. 또, 점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온이 저하되는 동절기에는 비저항치가 커짐. ② 단위단면적(), 단위길이(m)당 고유 전기저항을 일컫는 말. 고유저항, 저항률이라고도 불리며, 전기전도율의 역수이임. 단위는 으로 나타냄.비전도율 (比傳導率) |
전류가 흐르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도체가 가진 전기저항의 역수를 말하는 것으로 단위는 이며, 물의 경우는로 표시함.비점원오염 (非点源汚染, non-point source pollution) |
오염물질이 일정 수계로 유입되는 데 있어서 어느 지역 또는 시간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경우의 오염. 다수의 발생원으로부터 수계로 유입되거나 또는 강우 등에 의해 간헐적으로 발생함. ☞ 점오염원비접지방식 (非接地方式, non-grounded system) |
전력계통의 중성점을 접지하지 않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저전압 단거리 유전의 경우에 적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