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빔증설공법 (-增設工法) |
콘크리트 및 바닥판 보강공사에 있어서 기존 구조물 사이에 빔을 설치하여 지간을 줄여줌으로써 내하력을 크게 하는 공법을 말함.빗물유출계수 (-流出溪水, coefficient of runoff) |
총 강우량 중 하수관으로 유입하는 빗물과 증발, 또는 지하수 침투에 의해 하수관으로 유입되지 않는 빗물의 비율로써, 지형과 지표면의 상태에 따라 차이를 나타냄빗물유출량 (-流出量, amount of storm runoff) |
증발이나 지하수 침투가 아닌 하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강우량.빗물펌프장 (-場, rain water pump station) |
우천시 관거를 통해 유입된 배수구역내의 빗물을 부근의 하천 등 공공수역에 방류하기 위하여 설치된 펌프장.빙하호 (氷河湖, glacial lake) |
빙하에 의하여 생긴 호수.사각위어 (四角-, rectangular weir) |
개수로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월류부의 형상이 장방형인 보. 보통 월류정의 길이가 수로, 수조폭보다 작고, 측방 및 하방의 3방향에서 수축이 있는 축류보에 속함. 유량 Q는 폭 B, 압력수두 H, 유량계수 C로 하면 Q=으로 나타냄.사고기본요금 (事故基本料金) |
수도요금 조정 전산입력자료에 있어서 급수중지ㆍ중지후 급수재개시 구경별 기본요금을 일괄하여 추징하게 될 경우에 전산입력자료에 기재하는 것을 말함.사구 (砂丘, sand dune) |
모래에 의해 자연적으로 생긴 둑.사다리동목기초 (-胴木基礎, ladder type support foundation) |
연약지반층에 수도관 등을 포설할 경우, 받침토대기초나 기초 등으로는 시공면이 수습되지 않거나, 관의 부동침하가 예상되는 장소에 이용됨. 관 하부의 토사를 양질토로 대치하고, 그 위에 동목(胴木) 및 침목을 고정해 사다리상(狀)으로 설치한 위에 관을 포설해 관의 부동침하 발생을 방지하는 기초를 일컫는 말.사력댐 (砂礫-, rockfill dam) |
중앙에는 점토로, 주변에는 자갈과 모래로 다지고 돌을 쌓아 만든 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