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산소소비속도 (酸素消費速度, Rr) |
Rr로 표기하기도 하며, 포기조내의 활성오니가 호흡작용으로 용존산소를 흡수하는 속도를 말함.산소요구량 (酸素要求量, oxygen demand) |
수중유기물이 산화될 때 필요한 산소의 양. 수중유기물 농도의 지표로서 이용됨. 측정방법에 따라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TOD(총산소요구량) 등의 표시법이 있음.산소이용속도 (酸素利用速度, oxygen utilization rate; oxygen uptake rate; OUR) |
☞ 산소 소모율산소이용속도계수 (酸素利用速度係數, oxygen utilization rate factor) |
산소이용속도계수는 산소이용속도를 활성슬러지의 단위중량(g)당 mg/(gㆍh)로 나타낸 것. 활성슬러지에서는 MLSS 또는 MLVSS가 적용됨. ☞ 「SOUR」산소전달동력효율 (酸素傳達動力效率, aeration efficiency) |
수중교반식 폭기장치의 성능을 나타내는 수치로 20℃, 1기압, 초기용존산소농도 0 mg/L의 맑은 물중의 산소이동량을 교반기와 송풍기의 합계 축동력 당으로 환산한 값. 단위는산소전달효율 (酸素傳達效率, oxygen transfer efficiency) |
폭기장치에 의해 반응탱크에 공급된 공기량에 대한 혼합액에서의 용존산소량의 비로서 통상 백분율로 나타냄. 폭기장치의 종류, 형상, 공기공급량, 산기수심 등에 따라 다르며, 혼합액에 대한 효율은 순수한 물에 대한 효율보다 낮음.산소포화도 (酸素飽和度, percentage of oxygen saturation) |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등온등압 하에서의 포화산소량에 대한 백분율을 말함. 물에 대한 산소의 용해량은 수온과 산소분압에 의해 정해지며 수중의 염류농도에 의해서도 변동됨. 하수 등의 오염된 수중에서는 용존산소가 소비되므로 산소포화백분율은 BOD와 함께 물의 오염지표가 됨.산소포화량 (酸素飽和量, oxygen saturation) |
대기 중으로부터 물속으로 분산, 흡수되는 산소는 기체의 분압에 의해 일정 수준까지만 녹게 됨. 이때 물속에 녹을 수 있는 최대용존산소량을 말하며, 그 농도는 수온과 수중에 존재하는 물질의 농도에 따라 달라짐.산소활성슬러지법 (酸素活性-法, oxygen aeration activated sludge process; pure oxygen activated sludge process) |
활성슬러지법의 일종으로 공기를 보내는 대신에 순산소 혹은 고농도산소를 이용해서 폭기하는 방법. 이 방법에서는 산소분압이 공기에 비해서 5배 정도 높아지며, 그만큼 폭기조내의 용존산소(DO)를 높게 유지할 수 있음. 그 결과 MLSS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폭기조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음.산악형강수 (山岳形降水, orographic precipitation) |
습윤한 기단을 운반하는 바람이 산악에 부딪쳐서 기단이 상승하면서 생기는 강수의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