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생물막지지체 (生物膜支持体, biofilm supporter) |
생물막법에서 생물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매체. 자갈, 회전암반, 접촉산화법에 이용하는 플라스틱판자나 섬유 등이 있음.생물분해 (生物分解, biogegradation) |
생물이 유기체를 분해하여 저분자화하는 것. 유기물 중에서는 생물로 분해시키기 어려운 난분해성 유기물과 분해되기 쉬운 이분해성유기물이 존재. 분해속도는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저온에서는 분해속도가 저하. 정수처리에 있어서는 페놀, 냄새가 있는 물질인 2-MIB, geosmin 등의 생물분해가 시험되고 있음.생물분해가능유기탄소 (生物分解可能有機炭素, biodegradable organic carbon) |
생물분해성유기탄소라고도 함. 미생물의 영양원이 되는 탄소의 양으로 정수처리과정의 오존처리로 증가하며 생물활성탄처리로 제거됨. Billen-Servais에 따르면 여과제균(濾過除菌)한 시료수에 정수처리공정수를 1% 첨가하여 배양전후의 유기탄소의 차이량을 측정하고, 생물분해가능유기탄소라고 하였고 유기탄소농도가 낮은 경우나 미생물의 환경유해에 따라 값의 비교가 어려운 경우가 있음. 동화성유기탄소(AOC)보다는 수치가 커지는 경향이 있음.생물분해성시험 (生物分解性試驗, biodegradation test) |
환경 또는 하수처리과정에 있어서의 미생물에 의한 화학물질의 분해성을 조사하는 시험. 하수시험방법에는 BOD법이 있음.생물산화 (生物酸化, biological oxidation) |
생물, 주로 미생물의 움직임에 따른 유기물과 암모니아, 아질산, 철 등의 무기물이 산화되는 것. 그 과정에서 생물은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획득. 산화에 따라 유기물은 저분자화 되고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을 생성하여 무기화됨. 생물에 따른 암모니아의 산화는 질산화라고 불리며, 상수원수(上水原水)에 있는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데에 이용됨.생물산화처리법 (生物酸化處理法, biological oxidation process) |
☞ 생물처리법생물상 (生物相, biota) |
동일 환경 또는 특정 일정지역 내에서 생활하는 생물의 전 종류로서 생물종류상이라고 함. 생물상 중에서 식물의 모든 종류를 식물상(flora), 동물의 모든 종류를 동물상(fauna)라고 함. 이 이외에 미생물상을 구별하는 것도 가능. 특정 환경 또는 특정 장소의 생물상을 말하는 경우는 수생생물상(水生生物相), 저생생물상(底生生物相)과 같이 환경과 장소를 나타내는 말을 붙여서 사용함.생물상호작용 (生物相互作用, interaction) |
미생물에서 포유동물까지의 생물군집이나 개체군에 걸쳐서 발견되는 생물간의 상호작용의 총칭. 활성슬러지법 등의 생물처리에 있어서 세균과 원생동물의 포식관계 등의 생물작용이 처리효율에 영향을 줌.생물시험 (生物試驗, biological analysis) |
수원, 정수처리공정, 배수계통, 수도꼭지 등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관찰되는 생물을 동정(同定, 생물의 속, 종을 결정하는 것)하거나 정량하는 것. 수도에 있어서 생물시험은 생물을 원인으로 하는 냄새, 색도유발 정수처리장해, 여과폐쇄 등으로 정수와 수도꼭지수로의 생물의 누출 등에 대처하기 위하여, 장애의 원인이 되는 생물의 출현상황을 감시하고 그 처리대책에 필요한 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행하여짐.생물시험법 (生物試驗法, biological assay) |
☞ 생물 검정법(生物檢定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