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손실수두 (損失水頭, head loss) |
관거에 물이 흐를 때 관내 면의 요철과 유체와의 마찰과 유입ㆍ유출 관의 단면 급확대ㆍ점차확대ㆍ급축소ㆍ점차축소, 복수관의 분지ㆍ합류 등에 따라 손실되는 에너지를 수두로 표시한 것. 여과지에서의 손실수두는 현탁물질의 충전여재간극내 억류로, 통수저항이 증가하여 나타나는데, 사층내 정수압의 저하를 수두로 표시한 것.손실양정 (損失揚程, loss head) |
관 내부에서의 마찰, 단면의 변화, 밸브 등에 의해 발생되는 손실수두.손익분기점 (損益分岐點, break-even point) |
매출액과 그 매출을 위해 소요된 모든 비용이 일치되는 점으로 투입된 비용을 100% 회수할 수 있는 매출액의 액수를 나타내는 것.송기관 (送氣管, air feed pipe) |
송풍기로부터 반응조까지 공기를 보내는 관으로 관, 파이프, 풍량측정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송기배율 (送氣倍率, air to flow ratio; air to sewage ratio) |
반응조에 유입하는 하수량에 대하여 송입하는 공기량의 배율. 산소를 소비하는 하수중의 오탁물질 농도에 좌우되는 한편, 산기장치, 산기수심 등 산기성능을 나타내는 총괄산소이동용량관계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송기압 (送氣壓, air feed pressure) |
반응조로의 송기 압력을 말하며, 산기장치에 걸리는 수압과 산기장치, 송기관 풍량 측정장치, 공기여과기 등의 통과저항의 합계에 여유를 더한 압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송배수분리 (送配水分離, separation of distribution system from transmission system) |
송수관을 배수관망으로부터 분리하는 것. 송수관 도중에 배수관을 분리하여 배수지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배수구역내로 급수하는 것은 송수압력의 과대상승, 배수관의 사고에 따른 송수정지 등의 원인이 되므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함. 어쩔수 없이 분리하는 경우에는 수량관리상 송수관으로부터의 분지점에 유량ㆍ수압계를 설치하여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함.송수 (送水, water transmission) |
정수장에서 처리된 정수를 관로 등을 통해 배수지까지 보내는 것.송수관 (送水管, transmission pipe) |
송수를 위하여 부설한 관을 말함. 정수 처리된 물을 정수장 즉 정수시설로부터 배수구역 즉 배수지까지 정수 처리된 물을 보내는 관을 말하는 것으로 수도관의 구경이 500m/m이상을 말함. ☞ 송수시설송수시설 (送水施設, water transmission facilities) |
정수장에서 배수지까지 정수를 보내는 시설. 조정지, 송수펌프, 송수관, 송수터널 및 부대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