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셀레늄 (Se) |
어린아이의 심근증질환, 위장장애, 피부의 황달색착색, 치아장애, 구토 및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는 중금속으로 우리나라 먹는물 수질기준은 건강상 유해영향무기물질로 0.01mg/ℓ이하임.소각 (燒却, incineration) |
탈수한 슬러지에 연소 등의 열적조작을 가함으로서 슬러지의 유기물과 수분을 제거하고 잔존하는 무기분으로 바꾸는 것. 소각에 의해 슬러지의 최종처분량의 감소 및 질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음.소각로 (燒却爐, incinerator) |
슬러지케이크, 폐기물 등의 감용화,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 소각처리를 하는 설비. 로의 형식에 따라 유동상소각로, 스토커소각로, 입형다단소각로 등이 있음. 로 본체는 강판제 쉘, 내화벽돌, 단열캐스터블, 공기분산관(유동로), 화격자(스토커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부속설비로서, 통풍설비, 조연설비, 슬러지케이크 공급설비, 배기가스 처리설비, 재반출설비 등이 설치됨.소각재 (燒却灰, incinerator ash) |
소각시설에서 쓰레기가 연소된 뒤 소각로 바닥과 집진장치 등에서 배출되는 재로서 소각회라고도 함. 바닥재(bottom ash)와 비산재(fly ash)로 나누어짐. 바닥재는 도시쓰레기 중 불연성분과 미처 타지 않은 일부 가연성분이 소각재 안의 화격자 아래 놓인 잔류물 호퍼로 떨어진 것을 말하고, 비산재는 소각로에서 발생하여 건식스크러버와 여과식 집진장치에서 걸러진 재를 말하는데, 집진재ㆍ플라이애쉬라고도 함.소결 (燒結, sintering) |
분말의 집합체 또는 가압성 형체를 용융이하로 가열해서 구움으로서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진 고체로 하는 것. 슬러지의 유효이용의 한 방법으로서 소각재를 원료로 해서 소결에 의해 인공경량골재가 제조되고 있는 예가 있음.소규모급수시설 (小規模給水施設) |
주민이 공동으로 설치ㆍ관리하는 급수인구 100인미만 또는 1일 공급량 20미만인 급수시설중 시장ㆍ군수가 지정하는 급수시설을 말함. (수도법제3조)소규모하수도 (小規模下水道) |
중소도시와 농촌어촌 또는 대도시의 주변집락지역에서 정비되는 규모의 작은 하수도의 총칭으로 하나의 계획구역에서의 대상인구가 대략 10,000명 이하인 하수도를 말함. 소규모 하수도의 계획구간은 도시근교집락, 농산어촌집락, 관광지 등 도시와 다른 자연조건, 사회조건을 가지므로 소규모 하수도의 특성에 적합한 관로시설, 펌프장 시설 및 처리장 시설을 계획할 필요가 있음.소다회 (soda ash) |
탄산나트륨 무수물의 공업명. 암모니아-소다법(法)에 의하여 만들어진 탄산수소나트륨을 로(爐)에서 건조시켜 이산화탄소와 물을 제거하면 생김. 판유리ㆍ유리제품의 제조, 탄산나트륨ㆍ물유리 등의 나트륨염 제조, 탄산마그네슘 등의 탄산염 제조, 글루탐산나트륨 등의 조미료 제조, 염료ㆍ향료ㆍ의약품ㆍ농약 등 유기화합물 합성용, 양모 등의 세척, 비누의 제조, 세제의 배합용, 종이ㆍ펄프 제조, 고무의 재생 등 용도가 대단히 넓음. 응집처리에서 알칼리제 및 pH 조정제로서 이용. 석회보다도 고가이지만 용해성이 좋고 발생하는 오니의 양이 적음.소독 (消毒, disinfection) |
전염병 및 수질오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력을 없애고, 방류수의 안전성을 높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멸균, 제균과는 구별됨. 소독에는 열 등에 의한 물리적 방법과 약품에 의한 화학적 방법이 있으며, 음용수의 소독에는 염소와 오존, 자외선 등이 이용됨. 최근에는 지아디아(giardia)나 염소소독에 내성이 강한 크립토스포리디움(cryptosporidium) 과 같은 원생동물이 중요시 되고 있음.소독부산물 (消毒副産物, disinfection by-product) |
소독을 할 때 부차적인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물질. 수돗물의 소독에는 염소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염소와 수중의 유기물 등이 반응하여 인체에 유해한 트리할로메탄 등의 유기염소화합물을 생성함. 이산화염소, 오존 등 염소를 대신하는 대체소독제에 의해서도 클로라이트, 브로메이트, 알데히드 등의 소독부산물이 생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