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섬유강화플라스틱 (繊維强化-,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
플라스틱을 유리섬유 등으로 강화시킨 복합재료의 일종. FRP라고도 함. 플라스틱 보다 강도가 높으면서 플라스틱과 같이 성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수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섬유상활성탄 (纖維狀活性炭, fiber activated carbon) |
페놀, 아크릴로니트릴, 석유계 피치 등의 탄소계 재료로서 직경 의 섬유를 제조하고, 활성화시켜 흡착성능을 가지게 한 것. 형상면에서 보면 활성탄소섬유라고도 할 수 있음. 실제의 수처리에서는 일부정수기에 사용되고 있으나 정수장 등에서의 실용화까지는 아직 이르지 못함.섬유여(과)재 (纖維濾(過)材, fiber filter media) |
비표면적이 큰 함성섬유를 여과제로 사용한 것. 모래여과에 비해, 여과속도가 오래 걸림.섭취 (攝取, uptake) |
흡입, 섭식, 흡착에 의해 생물이 기질을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으로 흡수하는 일.성능곡선 (性能曲線, performance curve) |
기계의 여러 성능을 나타내는 곡선.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이면 회전수에 응하는 출력, 연료 소비량 따위의 변화도, 펌프의 경우는 회전수에 응하는 토출(吐出) 압력, 배수량 따위의 변화도를 표시하는 곡선.성능시험 (性能試驗, performance test) |
펌프, 선풍기, 전동기 등의 기기를 실제의 사용 상태에서 동작시켜 상태나 특성을 시험하는 일.성분 (成分, constituent; composition) |
화합물이나 혼합물을 구성하는 원소나 물질성층 (成層, stratification) |
호수의 상층과 하층에서 밀도차가 발생하여 밀도가 다른 물들과 층상을 이루는 것. 물의 밀도 차는 염분, 수온, 탁질의 크기와 양의 차이에 따라 생기지만 담수에 있어서는 수온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침. 수체가 층을 이루면 물의 상하혼합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상하층간의 물질이동에 방해가 되므로 수온, 염분뿐만 아니라 각종 수질항목과 플랑크톤 등의 분포가 상하층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수직분포를 나타내게 됨.성층권 (成層圈, stratosphere) |
대류권의 위로부터 고도 약 50km까지의 대기층으로 약 20~30km지점에서 오존들이 자외선을 흡수하므로 높이에 따라 기온이 증가하는 오존층이 있으며, 대류권과 반대로 높이 올라갈 수록 온도가 상승함.성층기 (成層期, stratification period) |
호수 등에서 성층이 생기는 시기. 물의 밀도는 4℃에서 가장 크기때문에 봄에서 여름에 걸쳐서 표면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하층과의 사이에 밀도차가 발생. 수온이 높은 물(밀도가 낮은 물)이 수온이 낮은 (밀도가 큰)물 위로 올라가는 성층이 형성됨. 성층은 여름철에 발달하고, 물은 수직적으로 매우 안정. 한편, 겨울철에 결빙되는 호수에서는 4℃의 물이 최하층으로 위치하고 그 위에 저수온의 물이 겹쳐지는 성층을 형성함. 이러한 성층은 성층의 수온이 하층보다도 높은 하절기의 성층(정렬성층)과 수온분포가 역전되기 때문에 역렬성층이라고 부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