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소모품비 (消耗品費) |
제조(공사)원가계산에 있어서 소모품비는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문구류, 서식지 등 소모품을 말함.소비전력 (消費電力, electric power consumption) |
단위시간당 전기에너지가 다른 에너지로 바뀔 때 소비되는 양. 단위로는, 와트시(Wh) 또는 킬로와트시(kWh)를 사용함.소석회 (消石灰, slaked lime; hydrated lime; calcium hydroxide) |
수산화칼슘. 백색의 미세한 분말로서, 비중 2.24. 물에는 아주 약간 녹으며, 온도를 올리면 도리어 용해도가 내려감. 수용액은 석회수라 하며, 강한 알칼리성을 보임. 또 수용액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탄산칼슘의 백탁(白濁)이 생김. 생석회(산화칼슘 CaO)에 물을 작용시키면 격렬하게 발열하며 생김. 수도에서는 물의 pH조정용으로서 알칼리제로 사용하거나, 점토입자를 주성분하여 슬러지 탈수효과를 높이기 위한 첨가제로 이용됨.소성 (燒成, burning) |
세라믹 등으로 성형품에 기계적 강도와 그 외 필요한 성질을 가지게 하기 위해 고온으로 가열해서 처리를 하는 것. 소각재를 이용한 벽돌제조 등에 이용함.소성로 (燒成爐, kiln; furnace) |
탈수케이크를 유용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케이크에 포함된 유해한 유기물질의 제거 및 감량이 목적인 설비. 회전로, 다단로, 유동로 등이 있음. 케이크는 유기물 함량이 30%미만으로 단독으로는 연소되지 않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열에너지가 필요함. 활성탄을 제조하는 부활로(賦活爐), 재생로도 소성로라고 함.소성변형 (塑性変形, plastic deformation) |
고체의 역학적 변형성상의 일종. 하중이 작용하여 변형한 물체에서 하중을 제거해도 변형이 원래로 돌아가지 않은 성질을 소성이라고 함. 이러한 불가역변성을 소성변형이라고 부름.소수성 (疏水性, hydrophobicity) |
어떤 물질이 물과의 상호작용과 친화력이 약한 성질. 반대의 의미를 가지는 용어는 친수성임. 일반적으로 금속, 금속수산화물 등의 콜로이드는 소수성을 지님. 수처리에서 취급하는 점토류도 소수성 콜로이드로 봄. 소량의 전해질을 가하면 쉽게 응집함. 응집효과와 전해질농도와의 관계에는 슐츠ㆍ하디 법칙이 적용됨. 소수성 콜로이드를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수용액에 계면활성제나 고분자 또는 친수성 콜로이드 등을 첨가하여 입자를 친수화하는 것이 필요함.소수성격자를지닌멤브레인필터 (疏水性格子-, hydrophobic grid membrane filter) |
멤브레인 필터 위에 독성이 없는 소수성 특수수지를 격자모양으로 도포하고, 1,600개의 미세한 생육구획으로 나눈 여과지로 미생물 분석에 이용. 생육구획 내에 포집된 미생물은 배양에 따라 여러 가지의 단일격자 내에 집락을 형성하기 때문에 균류가 많은 경우에도 집락이 겹쳐지는 경우가 적고 정확한 계수가 가능. 다만 포집된 균수가 일정량을 넘게 되면 하나의 구획에 복수의 균이 들어가기 때문에 보정식을 이용하여 보정할 필요가 있음. 이 방법에 따라서 얻어지는 계수값은 가장 정확한 수이며, 계산상 1,600구획 필터의 경우, 10,000까지 계수할 수 있음.소수성막 (疏水性膜, hydrophobic membrane) |
소수성이 높은 소재로 제조된 막. 복합막으로는 막공급수와 접촉하는 표면의 막재질만 소수성인 것도 있음. 출하와 보관 시에는 보통 습윤한 상태로 해 둠. 그러나 건조된 소수성막에 에탄올 용액, 이소프로필알콜용액 등의 표면장력을 줄여주는 용매를 투과시킴으로 버블포인트 이하의 낮은 압력으로 다시 물을 통과 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음.소수콜로이드 (疏水-, hydrophobic colloid) |
물을 분산매로 하는 콜로이드 용액을 말하며, 친수콜로이드에 반대되는 것으로서, 물과의 친화성을 갖지 않음. 금속, 수산화철, 유황 등 무기물질의 콜로이드에 많고, 소량의 전해질에 의해서 응집, 침전이 용이하게 행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