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실밸브 (soft-seal valve) |
다른 밸브와 달리 밸브 관 아랫부분에 파인 부분이 없으며, 밸브는 고무(EPDM)라이닝, 밸브관절 등은 에폭시수지 분체로 도장되어 있음. 장점은 비교적 저렴하며, 밸브개폐 시의 토크가 가볍고 파인부분이 없으므로 이물질이 끼지 않는다는 것이지만, 고무 열화방지(劣化防止)를 위하여 실내보관을 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음.소프트씨트게이트밸브 (soft seated gate valve; resilient seated gate valve) |
밸브상자 바닥부분은 구경부의 바닥부와 일직선상에 있어, 움푹 들어간 곳이 없고, 밸브자체는 전면에 고무라이닝이 되어 있어, 벨브체가 밸브상자 바닥 부분에 전면압착된 칸막이 밸브.소형수도계량기 (小型水道計量器) |
수도계량기의 구경이 13~50mm까지 말하기도 하며, 주로 접선류익차형 수도계량기가 많는 것으로 검정유효기간은 계량 및 측정에 관한 법률 제 33조에 의거 8년임.소화 (消化, digestion) |
슬러지 중 생물 또는 유기물질을 혐기성 또는 호기성 미생물의 작용으로 가스화, 액화, 무기화하여 안정화ㆍ감량화하는 것.소화가스 (消化-, digestion gas) |
혐기성 소화탱크에서 하수슬러지 중의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대사 분해되어 발생하는 가스. 통상의 가스조성은 메탄이 60~70%, 탄산가스가 30~40%이고, 그 외에 질소ㆍ수소ㆍ유화수소를 약간 포함하고 있음. 소화가스의 고위발열량은 1N당 5,000~6,000kcal로, 양질인 연료가 되며 일반적으로는 소화탱크의 가온에 이용되며, 소화가스를 이용한 가스발전도 실시되고 있음.소화가스발전 (消化-發電, power generation using digestion gas) |
슬러지의 혐기성 소화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이용하여 가스내연기관을 운전하고 그 동력으로 발전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소화가스 에너지의 약 30%가 전력으로 변환되며, 슬러지의 소화탱크 가온용으로의 열량사용을 더하면 70% 정도의 이용이 가능함. 이 전력량은 일반 처리장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의 약 20~30%에 해당함.소화가스의 유효이용 (消化-有效利用, digestion gas utilization) |
슬러지의 혐기성 소화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슬러지의 가온ㆍ교반ㆍ건조, 엔진의 연료 등으로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소화가스탱크 (消化-, digestion gas tank) |
혐기성 소화탱크에서 발생한 가스를 저류하는 탱크. 소화가스는 슬러지 소화탱크의 가온과 소화가스발전의 연료 등으로 이용됨. 사용가스량은 1일당 거의 일정한데 가스발생량은 슬러지의 투입, 뽑아내기 등의 조작에 의해 증감이 있으므로 이 동안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스홀더를 설치함.소화기계감염병 (消化器系感染病, gastrointestinal infectious disease) |
입에서 항문까지 이르는 소화기관 및 그 부속기관에 관계하는 감염병을 말함. 일반적으로는 설사, 발열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남. 감염경로는 수계감염(水系感染)이 많음.소화슬러지 (消化-, digested sludge) |
슬러지 소화탱크에서 슬러지 중의 유기물이 분해하여 안정화된 슬러지. 소화슬러지는 알칼리도가 아주 높게 되어 있으므로 알칼리도가 낮은 물로 세정해 슬러지의 알칼리도를 낮추고 또 탈수에 장해가 되기 쉬운 콜로이드상의 물질을 씻어 보내 약품 사용량의 절약 및 여과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