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압축공기 (壓縮空氣, compressed air) |
압력을 가하여 부피를 축소시켜 고압으로 한 공기.압축기장 (壓縮記帳, reduction entry) |
보조금, 공사부담금 등 취득의 고정자산에 대하여 보조금 등의 취득가액으로부터 공제되는 당해 고정자산의 장부가액임. 압축기장은 고정자산의 현재 취득관계를 재무제표에 반영함으로써 보는 방법임. 공영기업의 압축기장은 원칙적으로 알아낼 수 없음. 다만, 보조금 등에 따라 취득아래 고정자산의 감가상각비는 이 취득가액에서부터 당해 보조금 등의 금액을 공제하므로 금액을 장부가액 또는 장부원가로 보아 산출할 수 있음. 이것은 보조금 등에 따라 취득시 고정자산의 감가상각비를 수도요금 등의 원가로 삽입하는 것이 적당한 경우도 있을 수 있음. ☞ 감가상각자산, 대차대조표압축률 (壓縮率, compressibility) |
체적탄성률의 역수. 온도가 일정한 물체에 작용하는 압력이 ΔP 만큼 증가했을 때 처음의 부피 이 만큼 감소한다면 그 물질의 압축률 c는 로 표시됨. 일반적으로 기체는 압축되기 쉬우므로 압축률이 크고, 액체나 고체는 압축률이 작아 잘 압축되지 않음. 균질등방성(均質等方性)인 고체에서는 영률(Young’s modulus) E 및 푸아송의 비 σ와 압축률 c사이에 라는 관계가 성립함. 따라서 영률과 푸아송의 비를 알고 있으면 계산에 의해 그 물질의 압축률을 구할 수 있음.압축부재 (壓縮部材, compression member) |
압축력을 주로 받는 부재를 압축부재라 함. 압축부재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기둥을 들 수 있으며, 이밖에 축방향 압축력을 받는 상현재 및 사재, 주형을 지지하는 수직 및 수평 브레이싱(bracing), 플레이드 거더(plate girder)의 압축 플랜지(flange) 등도 압축부재의 범주에 속함.압축산소 (壓縮酸素, compressed oxygen) |
☞ 압축가스압축시험 (壓縮試驗, compression test) |
압축하중에 대한 저항력 및 그것에 의한 변형과의 관계나 강도 등을 조사하는 시험. 압축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원형이나 정사각형 단면의 기둥모양체를 만들고 이것을 압축시험기에 설치해서 압축하중을 가하여, 비례한도나 탄성한도 등을 측정함. 시험편(試驗片)의 중심축 방향에 똑바로 압축하중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장치가 시험기에 부속되어 있음. 시험기로는 일반적으로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지만, 타이어나 용수철저울과 같은 특수한 것은 압축전용 시험기를 사용함.압축침강 (壓縮沈降, compression settling) |
☞ 압밀침강압출류 (plug flow; piston flow) |
피스톤흐름, 플러그흐름 등이라고도 불림. 유계장치를 통과하는 흐름의 이상적인 상태의 한가지로서, 그 시간에 유입한 유체가 다른 부분과 혼합한 것이 없고, 그대로의 상태로 이동하는 유동상태를 말함.애폭시방식제 |
상수도 구조물 방수공사에 있어서 에피클로르 히드린과 비스페놀A 또는 다가알코올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애폭시 수지 성분과 아민계 경화제를 혼합하여 방수ㆍ방식층을 형성하는 재료로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므로써 내약품성이나 내후성 또는 방식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하기도 함.액경매물질 이동과정(液境腜物質移動過程, fluid film mass transfer process) |
피흡착질이 외부유체에 의해 분자표면에 유송되는 과정을 말함. 간단하게 생각하는 경우, 액경 내를 분자확산으로 이동한다고 하면, 분자확산계수를 경매두께로 나누면 경매물질 이동계수가 구해지고 물질 이동 모델에 적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