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알칼리 토금속 (Alkaline earth metal) |
마그네슘, 칼슘, 바륨, 스트론튬(Sr) 등 주기표 제Ⅱ A족의 원소를 말함. 명칭의 유래는 산화물이 알칼리 금속과 토양류 금속의 중간에 있다는 것에 따른 것임. 단체(單體)는 융해 할로겐화물로부터 얻어짐. 알칼리 토금속류는 은백색으로 연성이 있음. 용이하게 최외곽 전자를 잃어버리고 안정한 양이온이 됨.알칼리도 (alkalinity) |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수소염, 수산화물 및 탄산염 등을 중화하는 데에 필요한 산의 양에 상당하는 알칼리량을 탄산칼슘()의 ㎎/l로 표시한 것으로 산소소비라고도 함. 중화점의 pH값에 따라 P-알칼리도(페놀프탈레인 변색점 pH 8.3)와 M-알칼리도(메틸레드 혼합지시약 변색점 pH 약 4.8)로 구별됨. M-알칼리도는 총 알칼리도라고도 함. 정수처리용 약품의 주입에 따른 pH값의 변화를 완충하고, 응집에 적절한 pH값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알칼리도로서 20㎎/L정도가 필요함. 폴리염화알루미늄(PAC*, 10%) 1㎎/L를 주입하면 알칼리도가 0.15㎎/L가 감소하며, 액체황산알루미늄(8%)를 1㎎/L를 주입하면 알칼리도는 0.24㎎/L감소함. 이러한 약품 및 액화염소를 대량으로 주입하는 경우에는 알칼리제를 가하여 알칼리도의 감소분을 보충함.알칼리도계 (alkalinity meter) |
알칼리도는 수중에 포함된 중탄산염, 탄산염 또는 수산화물 등의 알칼리분을 탄산칼슘량으로 환산하여 그 양을 ㎎/ℓ로 표시한 것임. 측정방법은 측정수에 일정 농도의 황산을 pH가 일정한 값이 될 때까지 가하며, 더해진 황산의 양으로 알칼리도를 구함. 정수장의 원수측정에 이용되며, 원수의 탁도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응집제의 효과적인 주입제어의 보충정보로서 사용함.알칼리성 (alkaline) |
☞ pH알칼리성과망강산칼륨법 |
산화제로서 알칼리성 과망강산 칼륨을 사용하여 COD를 측정하는 방법을 말함.알칼리염소처리법 (-鹽素處理法, alkali chlorination; alkaline chlorination) |
전기 도금배수 등에 포함되어 있는 시안화합물의 대표적인 처리방법으로, 이단처리법이라고도 부름. 시안화합물은 pH 10이상의 알칼리측에서 염소와 반응시키면 거의 모두가 시안산으로 분해되어, 그 독성이 약해짐((1)번 반응식). 더욱이 pH 8 정도로 염소와의 반응을 계속하면 결국 질소와 탄소로 분해되고 완전히 무해화할 수 있음((2)번 반응식). 실제의 처리에서는 첫 번째의 시안산으로의 산화처리로 충분하다고 생각되고 있음.알칼리제 (alkali agent) |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나 철염은 수중에서 산으로 작용하여 알칼리분을 소비하여 pH를 저하시킴. 따라서 원수의 pH가 낮을 때나, 응집제의 첨가에 따라 pH가 저하되어 최적 응집 pH 범위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pH를 조정하는 약품이 필요하게 됨. 고탁도의 원수인 경우에는 응집제 주입량도 많게 되기 때문에 알칼리제의 첨가가 필수적임. 알칼리제로서는 소석회, 소다회, 가성소다가 사용되고 있음.알칼리폐수 (-廢水, alkaline wastewater) |
농도가 비교적 낮은 가성소다, 탄산소다, 수산화 칼슘, 암모니아 등의 알칼리를 포함한 폐수의 총칭.알킬수은 (-水銀, alkyl mercury) |
유기 수은화합물의 하나로 알킬기와 결합한 수은을 말함. 또한 알킬기와 수은이 결합한 유기수은 화합물을 알킬수은 화합물이라 함. 이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열, 산소, 물에 대하여 안정하고, 체내에서는 분해되기 어렵고 배설도 되기 어려워서 체내축적이 일어나 중독에 이르게 됨. 알킬수은의 중독 가운데 메틸수은과 에틸수은에 한하여 일본에서 미나마타병(메틸수은 중독)과 이라크 농약화(메틸수은, 에틸수은 중독)가 발생한 예가 있음.알파팩터 (alpha factor) |
활성슬러지 시설에서 깨끗한 물과 혼합액의 산소전달 계수의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