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압력용기 (壓力容器, pressure vessel) |
대기압을 견디는 용기, 압력을 발생하는 유체를 내장하는 용기, 또는 외압을 받는 용기를 압력 용기라고 함. 수도에서의 막여과에 이용하는 막 모듈의 하우징(housing)은, 사용조건이 증기, 열매체의 수용 등이나 증기가 발생하는 반응도 일어나지 않고 200kPa 이상의 기체를 내부에 하지 않기 때문에, 노동부의 압력용기 제조규격에는 해당하지 않음. 그러나 각 하우징(housing)은 사용압력 등에 맞는 재질 구조로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함.압력유지시험 (壓力維持試驗, pressure hold test) |
정밀여과 막의 안전성을 비파양적으로 시험하는 방법의 하나로, 막을 통하여 기체의 확산량을 평가하기 위한 것임. 확산 유량시험의 변법이며, Pressure hold 시험이라고도 함. Housing 또는 Holder에 설치한 정밀여과 막의 세공을 시험액으로 채우고 나서 1차측 및 2차측의 시험액을 배출하고, 1차측을 공기 또는 질소가스로 채우고, 1차측의 압력을 Bubble point 이하의 값(통상 Bubble point의 80%)까지 서서히 압력을 가한 후, 기체의 공급을 정지하여 일정시간(통상 5~20분) 유지한 시점의 압력강하를 측정하여, 가압기체의 확산량에서 정밀여과 막의 완전성을 평가하는 방법임. 일반적으로, 막 면적이 작은 모듈에는 압력 유지시험, 큰 모듈에서는 확산 유량시험이 이용되고 있음.압력조절밸브 (壓力調節弁, pressure control valve) |
압력제어를 목적으로 관로 중의 밸브의 토출측에 설치하는 밸브로 압력제어밸브, 조절밸브가 있음. 대표적인 것에는 제어특성이 적은 버터플라이 밸브, 체크 밸브, 볼 밸브 등이 있음. 또 감압량이 큰 경우에는 슬리브밸브, 니들밸브 등이 사용됨.압력탱크 (壓力-, pressure tank) |
① 밀폐된 물탱크 내에 물을 넣어서 공기를 압축하여 이 압축된 공기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높은 곳에 급수하기 위한 물탱크. ② 물탱크 중의 수량이 감소하여 수압이 떨어지면 부설펌프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물을 퍼올려 수압 및 수량을 회복하게 하는 탱크.압밀 (壓密, consolidation) |
압축응력의 증가로 흙의 체적이 서서히 감소하는 것.압밀침강 (壓密沈降, compression settling) |
침강이 진행되어 현탁액 입자와 floc이 침전지 저부에 퇴적하고, 밑쪽의 현탁질이 위쪽 입자의 중량에 의해 압밀작용을 받아 수분을 위쪽으로 배출해 농축된 침강을 말함. 슬러지 농축조의 하부에서 볼 수 있음.압밀화 (壓密化, compaction) |
막이 가압됨으로써 생기는 막 자체(주로 막 지지층에서 일어남)의 물리적 변화이며, 압력에 의한 클립(clip)변형 등에 의해 막이 서서히 부서져 불가역적으로 치밀화 되는 것을 말함. 압밀화한 막은 유체의 투과저항이 증대하여 유속이 감소함. 역삼투 막의 압밀화에 의한 유속의 감소는 m값으로 표시됨. 압밀화는 사용 막의 상용범위를 초과하는 압력 및 온도에서 운전하면 일반적으로 크게 되지만, 근래에는 압밀화가 작은 복합막이 개발되고 있음.압연배수 (壓延排水, rolling effluent) |
철강업의 경우 강괴로 강재를 만드는 과정에서 행하는 작업으로 예로 들면, 가열된 강괴를 2개의 롤사이로 통과시켜 판, 봉, 레일 등을 만드는데 이러한 공정을 압연이라고 함. 이 과정에는 다량의 냉각수가 소요되며 그 배수(30~40℃) 중에는 산화철의 입자나 윤활유가 많이 혼입되어 있음. 폐수처리 후 재이용하지만 반복사용 후, 재이용할 수 없게 된 배수는 처리를 거친 후에 공공용수역에 방류함. 제강업은 대량의 물을 필요로 하므로 물을 얻기 쉬운 장소에 입지하게 됨.압입공법 (壓入工法, jacked pile method) |
선재(線材)나 가는 관(管)을 만들기 위한 금속의 변형 가공법. 강시판(鋼矢板)을 세워 넣고 드로잉시 유압잭을 사용하여 무소음, 무진동에 가까운 공법. 유압식 시공이 곤란한 경우에는 워터잭을 병용함. 앞의 타입의 강시판(鋼矢板)을 반력용 잭을 잡고, 기계를 고정하여 압입용 잭 강시판(鋼矢板)을 유압잭의 정하 중에 반력을 준 후에 세우고, 드로잉을 행함. 회전으로 인해 기계의 개폐에 경질지반, 대구경의 용도에서 사용 가능함. 압입장, 인발장, 토질, 최대 N값으로 사용기계를 선정.압축가스 (壓縮-, compressed gas) |
보통 상온에서 액화하지 않을 정도로 압축한 고압가스를 말하며, 압력 10 kg/cm2(35℃) 이상의 가스를 가리킴. 기체를 시판(市販)하려면 보통 부피를 적게 하기 위해 압축가스로 만든 다음 용기에 넣어 공급함. 용접ㆍ인공호흡ㆍ실험 등에 쓰이는 압축산소나 고온가열에 쓰이는 압축수소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 밖에 압축질소ㆍ압축공기 등이 있음. 압축가스의 성질은 상압(常壓) 가스인 경우와는 달라서 기체의 상태방정식에 따르지 않게 됨. 이것은 기체분자 사이의 평균거리가 작아졌기 때문임. 압축하여 액체로 되는 경우에는 액화가스라고 하여 구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