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알데히드 (aldehyde) |
알데히드기(-CHO)를 가진 화합물의 총칭으로 일반식은 R-CHO. 가장 저위의 지방족 알데히드가 포름알데히드(HCHO)로서, 일반식중의 알킬기 R이 메틸인 것이 아세트 알데히드()임. 일반적으로 불안정한 것이 많고 용이하게 산화되어 카르복실산이 됨. 저급의 알데히드는 물에 용해하여 자극적인 냄새가 남. 오존반응 부생성물의 연구로부터 수도에 있어서 오존처리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알데히드류가 오존처리 후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음.알루미나시멘트 (alumina cement) |
알루민산칼슘을 주체로 한 시멘트. 주성분은 알루미나, 생석회 CaO, 무수규산 등의 용융물(溶融物)이며, 및 이 주요 광물로서 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해서 알루미나 성분이 상당히 많음. 내식성(耐蝕性)과 내화성 등도 포틀랜드시멘트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항만의 방파제, 낙농용 건물 등에 사용되기도 하고, 포틀랜드시멘트와의 병용(竝用)에 의한 급결성(急結性)을 이용하여 터널 공사에 사용됨. 그러나 값이 비싸기 때문에 보통은 사용되지 않고,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됨.알루미늄 (Aluminium; Aluminum) |
지구의 표면에 존재하는 원소 중에 3번째로 많으며, 금속에서는 제일 많음. 비중이 2.6이며 녹이 잘 슬지 않으며 상당히 튼튼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공기, 자동차, 건축물 등에 사용되고 있음. 알루미늄의 화합물인 명반은 옛날부터 물의 청정제로서 또는 황산알루미늄, 폴리염화알루미늄도 수돗물의 수처리제로서 이용되고 있음. 최근에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알루미늄이 많이 존재한다는 보고 때문에 수돗물 중의 알루미늄 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음. WHO 음료수 수질가이드라인 값은 변색의 빈도증가의 한계 값으로 하고 있음.알루미늄봉인 |
1997년 7월 1일부터 개선 시행된 봉인방법으로 기존에는 영업용 13mm에서 350mm까지 수도계량기에 대해 임의로 계량기를 조작하거나 설치장소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수도계량기에는 납으로 된 봉인과 계량기 연결배관(유니온)에는 PVC덮개로 연결부를 피복하였음. 개선방법은 납 봉인을 알루미늄 봉인으로 변경하고, 연결구리선을 스테인레스 강선으로 변경하였고, 납 봉인시 조작을 막기 위하여 철인으로 압착 봉인했으나, 개선한 봉인은 조임나사를 사용하게 했음.알루민산나트륨 (sodium aluminate) |
정수처리에 이용되고 있는 무기응집제의 일종으로서 통상 황산알루미늄과의 병용이 필요함. 조성식은 로 표현되며, 산화알루미늄과 산화나트륨을 가열로에서 가열하여 제조함. 황갈색의 투명한 액체. 온도의 저하에 따라 점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한냉시에는 보온이 필요함. 또한 이물질이 혼입되면 석출물이 생길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의 혼입에 주의하여야 함. 단, 사용 예는 적음.알부미노이드질소 (-窒素, albuminoid nitrogen) |
단백질이 부패하는 초기에 존재하며 쉽게 산화되어 암모니아성 질소가 되는 질소성 유기화합물 중의 질소. 하수, 공장폐수, 대소변 등이 혼입된 경우에 발생함.알츠하이머 병 (Alzheimer’s disease) |
치매병의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성 치매증의 원인은 노혈관 장애에 의한 것이 많지만, 서구에서는 알츠하이머병이 많음. 알츠하이머병은 병리학적으로는 뇌의 수축, 대외피질의 노인화 신경원섬유변화를 특징으로 함. 발병에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요인이 관계하고 있다고 추측되고 있음. 또한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는 알루미늄이 축적되어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음료수의 알루미늄과의 관련성이 주목받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그 관련성이 명확하지 않음.알카리제 |
물의 알카리도를 보충하거나 pH값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알카리성 약품을 말함.알칼리 골재반응 (alkali-aggregate reaction) |
실리카질 광물 등을 포함하는 골재(옥수(玉髓), 안산암(安山巖), 석영안산암(石英安山巖), 유문암(流紋巖)이나 이러한 응회석, 패암 등)와 시멘트, 모래, 혼화재 및 외부환경에서 얻어지는 알칼리 금속(Na, K 등)등이 물의 용존 상태에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현상. 반응하는 골재의 종류에 따라 ① 알칼리ㆍ실리카 반응, ② 알칼리 탄산염반응, ③ 알칼리ㆍ실리케이트 반응으로 크게 나누어짐. 이 반응에 따라 생성되는 물질은 흡습ㆍ이상 팽창하여 콘크리트에 금이 가게 하거나 붕괴를 일으킴.알칼리 침전 (-沈澱, alkali precipitation) |
배수 중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알칼리측의 pH 조정에 의해 침전물로서 생성시키는 것.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폐수처리에 있어서 관용적으로 이용되고 있음. 금속수산화물의 용해도는 pH값에 좌우되며, 양성금속(Al, Pb, Zn, Cu)은 산성, 알칼리성 측에서 용해함. 산성측에서는 금속단체(單體)이온, 알칼리 측에서는 착(錯)이온으로서 용해함. pH의 값과 함께 극소값을 나타냄. Cd와 같이 양성이 아닌 금속은 pH의 상승에 따라 용해도가 감소함. 일반적으로 알칼리측에서의 pH 조정에 따라 침전물의 생성을 일으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