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아스테리오넬라 (asterionella) |
색은 황갈색으로 폭은 2~3, 길이 35~ 90로 길고 가는 곤봉모양의 세포들이 별모양 또는 지그재형으로 붙어 군체를 이룸. 생태적으로는 수온이 0∼15℃범위내의 차가운 수역에서 출현하며, 호소나 저수지에서 주로 봄과 가을에 출현하는 종이고, 대량 발생 시 물의 색이 황갈색으로 변하고, 비린내가 나며 여과지 폐색의 원인이 됨.아스팔트 (asphalt) |
① 천연 또는 석유 증류에 의해 얻어지는 역청을 주성분으로 한 반고체 또는 고체의 점착성 물질. 석유아스팔트 중 통상 포장에 사용되는 것은 침입도가 40~300정도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straight asphalt)로 포장용 석유 아스팔트라고 함. ② 원유를 증류하여 가솔린(gasoline), 케로신(kerosene), 기타의 기름을 적당하게 제조한 잔류물이며, 제조방법에 따라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플론 아스팔트로 나누어짐. 포장용에는 한국산업규격에 적합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사용됨.아스팔트방수 (-防水, asphalt proofing) |
평지붕의 방수법으로 아스팔트를 칠하고 그 위에 아스팔트 펠트(felt)를 바른 후 다시 아스팔트 펠트를 바른 다음 또 아스팔트 칠을 하여 여러 번 겹치게 함. 8층 방수라는 것은 아스팔트층, 아스팔트 펠트층 등을 합하여 층수가 8층이라는 것임. 옥상 뿐 아니라 지하실 방수에도 액체방수와 같이 많이 이용되며 모르타르(mortar) 방수보다 공사비가 많이 듬.아스팔트포장 (-鋪裝, asphalt packing) |
골재를 역청재료와 결합시켜서 만든 표층이 있는 포장. 일반적으로 표층, 중간층, 기층 및 보조기층으로 이루어짐. 이와는 달리 보조기층 및 기층 위에 직접 두께 3~4cm의 표층을 둔 것은 간이포장이라 하며, 두께 2.5cm 이하의 표층을 시공한 것은 표면처리라 함. 포장의 역학적 성질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을 가요성(flexible) 포장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강성(剛性)포장에 대응되는 호칭임.아연 (亞鉛, zinc) |
자연수 중에 미량으로 포함되어 있지만 고농도의 아연은 광산배수나 공장배수 등에 의한 오염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음. 수돗물에 고농도의 아연이 검출되는 경우는 거의 모두가 급수관 등의 아연도금강관으로부터의 용출에 의함. 수돗물에 고농도의 아연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흰색 오염물질로 되어 오염의 원인이 됨. 또한 고농도의 경우에는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중독 증세를 일으킴.아연도관 (亞鉛鍍管, GSP) |
수도용으로서 강관의 내외면에 용액의 아연도금을 한 관을 말함.아연도금강관 (亞鉛鍍金鋼管, SPPW) |
주로 급수용으로 사용되며, 배관용 탄소강관의 흑관에 용융 아연 도금에 의한 방청처리를 한 것으로 이는 배관용 탄소강관을 알칼리세정, 수세, 산세, 플러스 처리 등의 가공을 한 후 아연 도금을 한 것으로 배관용 탄소강관의 백관보다 내식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아연 도금량을 많이 하여 도금층을 두껍게 한 것임.아염소산 (亞鹽素酸, chlorite) |
수중의 아염소산 이온() 및 아염소산염으로 정수처리에서 이산화염소를 소독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그 소독부산물 및 불순물로서 정수 중에 잔류함. 다량으로 섭취하면 메트-헤모글로빈(met-hemoglobin)혈증을 일으킴. 측정방법에는 요소측정법,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 DPD법, 전류적정법이 있음.아이브스식 (Ives equation) |
Ives가 제안한 여과계수(λ)를 표현한 일반식(–(∂C/∂x)t=λC). 여기에서, α는 여재의 충전도에 관한 계수, 는 청정여재의 공극률, σ는 단위체적의 여층 내에 제어된 상태의 현탁질이 점유하는 체적 는 간극유속이 한계값에 도달하였을 때의 억류 현탁질 체적비(최대억제률), 는 여재표면으로 집적된 현탁입자층의 공극률, x, y, z는 실험정수, 는 초기여과계수, σ는 여층의 단위체적중에 억류된 현탁입자의 체적농도를 표시함.아이소발레릭산 (isovaleric acid) |
분자식은 로서 분자량 130.18, 녹는점-35℃, 끊는점 176~177℃, 비중 0.93~0.94, 물에 용해성이 있고, pH 3, 상온⋅상압 하에서는 안정적인 물질임. 주로 축산 사업장, 화제장, 어장, 계분건조장, 축산식품제조공장, 전분제조공장, 분뇨처리장, 폐기물처리장 등에서 주로 많이 발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