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실트 (silt) |
모래보다 작고 점토보다 큰 퇴적토. 흙의 입자의 크기에 의한 구분명, 또는 흙의 분류명. 입자의 지름이 0.05~0.005mm 정도인 흙으로 모래와 같은 광물이 주로 있으며 알루미나와 산화철을 포함하는 것이 많음. 외견상 점토와 닮았으나, 건조강도가 상당히 작고 모양의 변화에 따라 그 용적이 변화하는 성질(다일레이턴시, dilatancy)이 있는 등 점토와는 다른 성질을 지님. 실트를 주체로 한 지층을 실트층이라고 하고, 소요 지지력을 필요로 하는 기초지반으로서는 부적합함.실험실시험 (實驗室試驗, laboratory test; laboratory study) |
처리방법의 검토, 실제 장치에 대한 기초 데이터 확보 등을 위하여 실험실에서 소규모의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시험하는 것.심미적영향물질 (審美的影響物質) |
냄새, 철, 탁도 등 건강에는 별 영향이 없는 주로 물맛과 관련된 물질로서 먹는물 수질기준에는 탁도, 색도, 냄새 등 16개 항목이 있기도 함.심수층 (深水層, hypolimnion) |
깊은 호수에서 성층현상이 일어날 때 수온약층(thermocline)보다 깊은 부분을 심수층이라고 함. 심수층에서는 수온이 낮고 빛도 감소하기 때문에 호수표면과는 다른 수질과 생물상을 나타냄. 일반적으로 식물플랑크톤은 작으며 생산보다 분해가 우세함. 부영양호의 심수층에서는 하절기에 무산소상태가 되고 호수 밑바닥에서는 황화수소의 발생도 나타냄. ☞ 수온약층, 표수층, 변수층심정 (深井) |
제1불투수층 이하의 물을 집수(集水)하는 우물을 말함.심정호 (深井戶, deep well) |
피압지하수를 취수하는 정호(井戶)를 말함. 케이싱, 스크린 및 케이싱 내에 매달아 올린 양수관과 펌프로 되어 있고, 좁은 용지에서 비교적 다량의 양질의 물을 얻는 일이 가능함. 깊이는 30m이상인 것이 많고, 600m이상에 이르는 경우도 있음.심층수 (深層水) |
지하의 제1불투수층과 제2불투층 사이의 피압면 지하수로서, 지층의 정화작용으로 거의 무균상태이고, 4계절의 수온이 일정하며, 공기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해 환원작용 즉 황산염이 황화수소 그리고 질소화합물이 암모니아의 형태로 존재함.심층여과 (深層濾過, deep filtration) |
☞ 내부여과심층지하수 (深層地下水, deep groundwater) |
피압지하수. 깊이에 따라 구분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깊이 30~50m이상.심층폭기법 (深層曝氣法, deep aeration method) |
폭기방법 중 하나. 호수와 저수지에 수질개선을 위한 저수 순환방법, 오수처리시설에서 폭기조의 폭기방법의 하나로 이용. 표준활성오니법에서의 폭기조 수심은 4~6m 정도이나 심층식 폭기법에서는 수심이 10m 정도이므로 필요폭기조 면적을 반 정도로 줄일 수 있음. 따라서 이 폭기조는 대도시의 하수처리장에서 처리수량의 증가에 따라 시설개량을 할 때에 많이 채용. 딥샤프드에어레이션이라고 불리는 수심 100m 이상의 폭기조도 공장폐수처리에 적용되기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