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식중독 (食中毒, food poisoning) |
독물 또는 병원성 미생물이 포함된 음식물을 섭취하여 생기는 소화기계와 신경계의 급성중독 또는 만성중독 및 소화기계통 급성감염병을 말함. 세균성 식중독, 화학성 식중독, 자연식중독으로 구분함.식포 (食胞, food vacuole; phagosome) |
식물포라고도 함. 원생동물이 먹이를 섭취하여 소화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세포소기관. 아메바 등에서는 원형질막으로 된 식물이 식포가 됨. 섭취한 먹이는 원형질 유동에 의하여 체내로 이동하는 사이 제1알칼리기, 산성기, 제2알칼리기, 최종기의 4단계를 걸쳐 소화ㆍ흡수한 후, 남은 것은 체표(또는 세포항문)를 통하여 체외로 배출됨.신뢰구간 (信賴區間, confidence interval) |
미지의 모수(母數)가 존재한다고 생각되는 구간의 상단와 하단의 구간추정에 있어서, 가 구간[,]에 들어올 확률 Pr가 성립할 때, 구간 [,]을 모수에 대한 신뢰계수의 신뢰구간(또는 100()% 신뢰구간)이라 함. 신뢰구간의 상단 및 하단의 값은 신뢰한계라고 함.신축가요조인트 (伸接可撓-, expansion and flexible joint) |
관로에 지반침하, 온도변화, 지진에 의한 지반변동 등에 따르는 관로의 변위응력을 경감하고 관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용되는 관 소재. 신축가요조인트는 각도변위와 신축, 경우에 따라서는 비틀림 등을 동시에 받기도 하는데, 이러한 외부 충격을 모두 흡수할 수 있어야 함. 따라서 설치위치의 환경과 요구되는 기능을 만족할 수 있는 구조를 선택할 필요가 있음. 덕타일 주철관 조인트의 다수는 신축성, 가요성을 필요로 하고 더욱이 이탈방지성도 갖추어 지진에 강한 신축가요조인트가 보급되고 있음. S형, NS형 조인트 등이 있음.신축관 (伸縮管) |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 팽창에 대한 유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관로 상에 설치하는 관을 말함.신축이음 (伸縮-) |
온도변화 등에 의하여 신축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이음으로 드레서형, 텔레tm코프형, 빅트릭형, 베로즈형 등이 있음.신축이음관 (伸縮-管, expansion and flexible pipe) |
지반침하, 온도변화, 지진에 의한 지반변동 등에 따른 관로의 변위응력을 경감하고, 관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용되는 관 소재. 신축가요관은 각도변위와 신축, 경우에 따라서는 동시에 비틀림 등의 외부충격을 모두 흡수할 수 있어야 함. 따라서 설치위치 및 환경과 요구되는 기능을 만족하는 구조를 선택할 필요가 있음. 이 기능을 만족하기 위하여 빅트릭 형, 드레서 형, 텔레스코크 형, 크로저 형, 베로즈 형 등 목적에 따라 사용되고 있음. 용접조인트동관(鎔接-銅管)을 설치하기를 원하는 경우는 필요에 따라 이 신축가요관을 제작함.신축조인트 (伸縮-, expansion joint; flexible joint) |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 지진에 의한 지반변위, 지반의 부동침하, 펌프에 의한 진동 등을 흡수하여 관로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 신축성, 가요성 또는 편심성 등이 풍부한 조인트와 관의 총칭으로서 신축이음이라고도 부름. 사용되는 장소는 주로 수관교 등의 도로측부구조물, 익스펜션 조인트부 및 취합부, 입갱취합부, 펌프접속부 등. 신축가요조인트와 신축가요관으로 분류됨.실가동율 (實稼動率, rate of facility actual operation) |
일정한 설비에 대하여 특정 1일에 해당하는(1년간) 실질가동운전시간(가동중지를 포함하지 않음)과 그 설비의 24시간 운전능력에 대한 비율을 말함.실드공법 (-工法, shield jacking method; shield driving method) |
비개착공법의 일종으로, 도시 밀집지와 취약지반에 지하철, 상하수도, 공동구 등의 터널을 만드는 기술. 절개후방에 강철제의 실드를 만들어 잭 실드를 억제방향으로 미는 동시에, 수구에서 세그먼트(강철제와 철근콘크리트제의 재료틀)를 조립한 터널을 만듦. 실드는 그림처럼 전면에서 굴착(掘鑿)하는 후드부분, 추진설비 등을 장비한 거더 부분, 수부에서 복공작업을 하는 테일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굴진지반(掘進地盤)의 토질에 따라, 전면개방형(수작업굴착식, 반기계 굴착식, 기계굴착식), 부분개방형(블라인드식), 밀폐형(토압식, 니수식(泥水式))으로 분류. 실드공법은 추진공법에 비하여 대규모의 터널공사이며, 추진연장이 500~1,000m를 표준으로 하며, 사행수정(蛇行修正)도 용이. 지중이 불안정하여 막장의 붕괴, 지표면의 함몰 또는 침하의 위험이 있는 경우, 압축공기공법, 지하수위저하공법, 약액주입공법, 동결공법 등의 보조공법에 의하여 지중의 안정을 도모함. 니수가압(泥水加壓)실드공법은, 실드선단에 붙는 회전식 카터의 배면을 버클헤드라 불리는 강철격판으로 덮고, 굴삭토사를 물과 섞어 절우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공법. 니수는, 트로크와 배니관(排泥管) 등으로 갱외의 니수처리 프런트로 보내짐. 최근에는, 지하건설공사가 매우 깊어지고 단면이 커져서 밀폐형의 니수가압실드가 많이 채용되고 있음. 압기실드공법은 지하구위가 높고 굴삭에 따른 용수로 절개분의 자립이 확보되지 않을 때 터널 안을 밀폐하여 내부의 공기압을 높여 지수효과(止水効果)를 높이는 공법. 소구경실드공법은 세그먼트가 3등분으로 나누어져 안전성이 높고, 결합볼트를 사용하지 않아 2차복공이 없어 경제적으로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곡선시공이 가능하며 내부주입에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등의 장점이 있고, 하수도관거와 각종매설관로의 초관축조(?管築造)에 이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