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수자원 (水資源, water resource) |
농업용, 생활용, 공업용, 발전용 등의 자원으로서의 물. 수자원 개발 계획은 장기적인 수요자의 전망에 기초해서 댐 등의 수자원개발이나 이용에 대한 기본적 방향을 가리키는 것도 있음.수자원개발 (水資源開發, water resources development) |
☞ 수자원수자원개발계획 (水資源開發計劃,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lan) :☞ 수자원 |
수자원개발기본계획 (水資源開發基本計劃, master plan for water resources development) |
수산업의 개발 또는 발전 및 도시인구의 증가에 따른 용수를 필요로 하는 지역에 대해서 광역적인 용수대책을 긴급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수자원개발 수계(水系)마다 정해진 당해수계에 있어서 수자원의 종합적 개발 및 이용의 합리적인 기본이 되는 계획. 수자원국에 수자원정책과 수자원개발과 하천계획과 및 하천관리과를 두며 각 과장은 수자원개발사업의 투자효율성 분석 및 예산관리에 관한 사항과 수자원개발에 관한 법령 및 제도의 입안 및 연구, 발전 등에 관한 사항을 분장.수자원백서 (水資源白書, white paper on water resources) |
일본의 경우, 1983년 이후, 매년 8월 1일부터 물의 주간으로 해서, 국토교통성 수자원국 수자원부가 ‘일본의 수자원'으로 이름 붙이고 공표하고 있는 간행물. 환경부 및 환경 관련 부처가 전년도에 추진한 환경정책의 성과방향 등을 소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환경백서를 발간하며, 자연환경, 대기, 물, 토양, 해양 등 각 부문별로 수록.수자원부존량 (水資源賦存量, amount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
어떤 지역에 있어서, 하천수 혹은 지하수로서 이용 가능하다고 기대되는 이론상의 수량. 연간강수량에서 증발산량을 뺀 것에 그 지역의 면적을 곱한 수치. 실제로 수자원으로서 이용이 가능한 양은 각 지역의 비나 눈이 내리는 특성. 하천의 유출특성 등에 의해 크게 다름.수자원이용율 (水資源利用率, water utilization ratio) |
수자원 부존량에 대한 수자원사용수량의 비율. 하천이용율과 함께 수자원량의 개발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 최근의 수자원개발에 의해 그 비율은 매년 증가함.수저퇴적물 (水低堆積物, bottom deposit) |
하천, 호소 및 해역의 바닥에 침전된 물질. 생물의 사체, 식물 및 인간 생활의 배출물 등의 유기물을 포함함.수저항기 (水抵抗器, water rheostat) |
염분을 용해시킨 물을 주입한 수조 내에 전극을 넣고 수용액을 저항으로 사용하는 장치. 발전기의 시험용 부하로서 사용함.수전 (水栓, water tap) |
☞ 급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