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성간염 (-性感染, viral hepatitis) |
주로 간염 바이러스군에 의해서 생겨나는 감염을 말하지만 황열병, 전염성 탄핵증, 또는 소아에게 있어서의 헤르페스, 싸이트 메가로, 콕사키 혹은, 풍진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에도 간 장애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음. 간염 바이러스군은 먼저 A, B, AㆍB가 아닌 것의 세 종류로 나누지만 현재는 A, B, C, D 및 E의 다섯 종류로 나눌 수 있음. 이 중에서 A, E형이 수계의 감염을 일으키고 B, C, D형은 혈액 관련형으로서 수계를 감염시키지 않는다고 함. 또, A, E형은 일과성 감염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지만, B, C, D의 경우는 일과성 감염뿐만 아니라 지속 감염도 많음. 세계적으로 유명한 뉴델리에서의(1955~56년) 수개의 감염바이러스의 원인바이러스는 E형이라고 추정되고 있음. ☞ 바이러스감염증바이메탈 (bi-metal) |
팽창계수가 다른 2종의 얇은 금속판을 밀착하여 하나의 판으로 만든 것으로서, 온도가 조금만 변화해도 크게 굽어지는 성질이 있음. 이 성질을 이용하여 온도 조절기나 자기 온도계 등 각종 조절장치에 사용됨. -50~200℃ 정도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황동과 니켈(Ni 36%)의 조합이 있음. 온도의 변화에 따라 현저하게 구부러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온도변화의 검출, 온도조정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 재료는 팽창이 적은 쪽에는 니켈과 철의 합금, 팽창이 큰 쪽에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 니켈ㆍ망간ㆍ철의 합금, 니켈ㆍ몰리브덴ㆍ철의 합금, 망간ㆍ니켈ㆍ구리의 합금 등 여러 가지가 있음. 가장 간단한 바이메탈은 저온에서는 수평이던 것이 고온이 되면 니켈 ㆍ철 합금 쪽으로 구부러지며, 따라서 저온에서는 바이메탈을 통해 전류가 흐르지만, 고온 때는 접점이 떨어져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 이와 같은 기구를 보온밥통 내에 장치하면 밥통 안의 온도가 오르내림에 따라 접점이 떨어졌다 붙었다 하여 온도를 어느 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가 있음. 그러나 이런 바이메탈은 접점이 떨어질 때 불꽃이 발생하여 접점이 빨리 열화(劣化)하므로, 구성을 연구하여 접점의 동작이 빨라지도록 해야 함. 가정용, 공업용, 수송용, 군사용 등 각 방면에 사용되고 있음. 특히 가정용 전기기구의 온도 조절장치나, 일반 전기 기구류 안에서 전류제한기, 자동개폐기 등 넓은 범위에 걸쳐 사용되고 있음.바이브로해머 (vibro-hammer) |
진동식항타기를 일컫는 말. 강시판(鋼矢板)이나 H강 등의 토류벽(항) 등을 박을 경우에, 드롭해머나 디젤해머 등 타격식 항타기와 달리 진동을 응용한 항타기. 모터를 이용해 동일위상의 편심회전체에 의한 원심력의 상하방향성분을 합성하고, 이것을 기진력(起振力)으로서 항타, 항발을 실시함. 정확한 위치방향에 박을 수 있음.바이오가스 (bio-gas) |
생물반응(미생물 발효나 효소 등이 이용)에 의해 생성되는 연료용 가스를 총칭하여 바이오가스라 함. 주요한 것으로는 메탄과 수소가 있는데 메탄은 폐기물처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유망하지만, 온실효과 가스라는 점에서 환경 속에 누출되지 않게 하는 연구가 필요함. 수소는 연소시켜도 대기오염의 염려가 없음. 생성능력이 높은 균주(菌洙)의 탐색이나 유전자 공학에 의한 생성능력 증대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음.바이오레미디에이션 (bioremediation) |
생물공정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해화학물질에 의하여 오염된 지하수나 토양 그리고 슬러지를 처리하는 기술로서, 미생물을 이용한 환경정화 및 환경복원기술.바이오마커 (biochemical marker) |
특정 종류의 세균이나 특정 유전자의 거동을 추적하기 위한 지표물질이나 특정 염기배열.바이오매스 (biomass) |
일정 시점 및 일정 공간에 생존하고 있는 생물체의 총량. 단위체적 또는 단위면적의 중량이나 에너지양으로 표시. 생물체량, 생물량이라고도 함.바이오매스자원 (-資源, biomass resources) |
에너지원 또는 화학공업용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일정규모로 집적한 생물체를 말함. 목재와 같이 태워서 연료로 하는 것. 수액처럼 분해하여 석유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 혹은 식물중의 전분처럼 발효시켜 알콜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음. 농축산폐기물이나 도시쓰레기 등의 미이용 자원도 포함됨.바이오모니터 (biomonitor) |
특정한 화학물질에 대해 정확하고 예민하게 반응하는 능력이 있는 생물을 검지소자(檢知素子)로 사용하여 모니터링(감시 및 경보)하는 시스템바이오센서 (biosensor) |
화학물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미생물, 효소 등 생물 및 생물유래의 물질을 이용한 센서. 이용하는 소자에 따라 효소센서, 면역센서, 미생물센서 등으로 분류됨. 효소센서는 혈당치를 조사하는 글루코오스센서 등의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음. 미생물센서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수질오염의 지표인 BOD측정에 5일을 필요로 했지만, 약 30분으로 측정할 수 있는 BOD센서가 개발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