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바나듐(vanadium) |
못트란광 등에 함유. 대부분은 우라늄, 납, 아연광처리의 부산물로서 얻어지고, 중유(重油)보일러의 소각재를 원료로 하는 경우도 있음. 페로바나듐의 형태로 널리 사용, 또 티탄, 지르코늄 등의 합금첨가제에 이용됨. 자연수에 함유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공장폐수, 진개(塵芥)소각장폐수 등에 함유되는 경우가 있음. 산화물, 특히 유산(硫酸)제조인 촉매나 바나듐화합물의 원료인 오산화바나듐 는 독성이 강하고, 노동안전위생법의 특정화학물질로 지정되어 있음.바닥트랩 (floor trap) |
바닥의 배수용으로 사용하는 트랩을 말하며, 드럼형 바닥 트랩과 벨 트랩 등이 사용되고 있음.바덴포공정 (-工程, Bardenpho process) |
생물반응조를 제1무산소, 질산화, 제2무산소, 호기조의 순으로 배열하고, 질산화조에서 질산화혼합액을 제1무산소조로 순환해서 질소제거를 하는 처리 방식.바륨 (barium) |
활성이 있는 은백색의 부드러운 금속. 자연계에서는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대부분 염류로서 존재. 화학적 성질은 칼슘이나 스트론튬과 비슷함. 금속의 탈산제, 각종 합금에 이용되고, 바륨염은 X선조사(照射) 시의 조영제(造影劑) 등에 사용됨. 바륨은 표류수나 지하수 중에는 적지만 공장폐수나 광산폐수 등의 혼입에 의해 함유되는 경우가 있음. 생체로의 흡수는 형태에 따라 독성의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용성인 것은 독성이 있어 다량으로 섭취하면 복통이나 설사 등을 일으킨다고 여겨짐.바륨크롬산염흡광광도법 (-酸鹽 吸光光度法, barium chromate colorimetric method) |
산화이온 측정법. 황산이온을 바륨 크롬산염과 반응시켜 황산바륨의 침전을 생성하는데, 이 때 생기는 크롬산이온을 흡광광도법으로 측정. 조작성질이나 정도, 환경부하 등의 이유로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황산이온의 측정법으로 염화바륨법 및 이온크로마토그래피 등이 사용됨.바륨화합물 (-化合物, barium compound) |
안정된 화합물에서는 항상 산화수 2가임. 대체로 무색의 이온 결정. 탄산염, 황산염, 크롬산염, 수산염 등의 물에 난용(難溶) 내지는 불용임. 이 경우 는 칼슘이나 스트론튬의 염과 비교하여 더욱 난용이지만, 에서는 반대로 어느 정도 녹기 쉬움. 황산바륨 이온은 산에 녹음. 염화물, 브롬화물, 요오드화물, 질산염, 수산화바륨 등은 물에 녹지만, 이들은 칼슘염과 같은 흡습성 내지는 조해성을 나타내지 않음. 유기 바륨화합물은 불안정한 것이 많음. 는 유독하므로 황산염 이외의 염의 취급에는 주의해야 함.바스크린 (bar screen) |
☞ 스크린바실러스 (Bacillus) |
편성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의 그램양성(gram positive) 아포형성간균으로 구성되는 속명(屬名)으로 바실러스과(Bacillaceae)의 기본속(type genus)임. 상수시험방법에 있어서의 호기성 아포균(아포균)의 주체를 차지함. 소독효과의 실험 등에 이용되는 Bacillus subtilis는 Bacillus속의 기준종(type species)이고, 일반적으로 고초제로 일컬어짐.바이러스 (virus) |
세균보다 작아서 세균여과기로도 분리할 수 없고,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지 않으면 볼 수 없는 작은 입자. 비루스라고도 함. 인공적인 배지에서는 배양할 수 없지만 살아 있는 세포에서는 선택적으로 기생, 증식함. 바이러스는 생존에 필요한 물질로서 핵산(DNA 또는 RNA)과 소수의 단백질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밖의 모든 것은 숙주세포에 의존하여 살아감. 결정체로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생물, 무생물 사이에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증식과 유전이라는 생물 특유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대체로 생명체로 간주됨.바이러스감염증 (-感染症, viral infectious disease) |
바이러스가 인체 또는 동물의 체내에 침입해, 장기나 조직 속에 증식하는 것을 감염이라 하고, 그 결과로 생기는 병을 바이러스 감염증이라 함. 바이러스 감염은 반드시 숙주의 발병에 연결되는 것은 아님. 체내에 침입했을 경우 바이러스에 따라 다른 기관 또는 조직에서 제1차적인 증식을 하지만 많은 경우에는 숙주에 변화를 가져다주지 않고 바이러스는 소실을 하거나 잠복을 함. 숙주의 상태는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서는 제2차 기관이나 조직으로 옮겨지며 거기서 2차 바이러스가 증식함. 이 2차적인 바이러스 증식이 바이러스성 질환으로서 표면에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