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미생물결합담체 (微生物結合擔體, microbe-bound carrier) |
미생물을 담체표면 또는 세공 중에 자연발생적으로 부착시킨 담체. 결합고정화 담체로서는 합성수지, 세라믹, 규사, 제올라이트, 활성탄, 시멘트볼 등이 사용됨. ☞ 미생물 부착담체미생물부착담체 (微生物付着擔體, microbe-attached carrier) |
☞ 미생물결합담체미생물상 (微生物相, microbial flora) |
토양이나 활성슬러지 등 어떤 정해진 환경조건(생태계)을 바탕으로 분포하고 생육하는 미생물의 전 종류. 종류 상호관계나 환경의 의의 등은 포함하지 않는 개념임. 하지만, 각각의 환경조건 중에서는 다양한 미생물군이 상호관련을 가지면서 전체로서 동적평행이 유지되고 있고, 동일 환경조건 아래에서는 같은 종류의 미생물이 출현하는 경우가 많음. ☞ 생물상(生物相)미생물오염 (微生物汚染, microbial contamination) |
넓은 의미로는 미생물의 혼입현상을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말함. 수계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에는 콜레라, 티프스, 설사유발 세균, 디아지아, 크립토스포리디움 등의 원충류 및 바이러스 등이 있음.미생물제제 (微生物製劑, microorganic controlling agent) |
환경 중 오염물질 등을 특이하게 분해하거나, 활성슬러지의 상태를 개선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미생물 또는 미생물 유래물질(효소 등)의 총칭.미생물증식계수 (微生物增殖係數, yield coefficient) |
기질소비속도에 대한 박테리아의 증식속도비(Y)를 말하며, 순 증식속도와 기질소비속도의 비를 나타낸 것을 관찰 yield()값이라 함.미생물지표 (微生物指標, microbial indicator; microbial index) |
어떠한 미생물이 존재하는지, 혹은 미생물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등 미생물에 관한 정보에 의해 환경의 상태를 추정하는 경우 이러한 미생물의 특이성에 의거한 환경파악을 위한 지표를 미생물지표라 함. 또, 지표성이 뛰어난 미생물을 지표미생물이라 하고, 이화학지표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오염물질의 상승(相乘)효과를 파악하거나, 특정 폐수에 의한 물의 오염을 평가하는데 이용됨. ☞ 생물지표(生物指標)미생물활성평가 (微生物活性評價, microbe activity estimate) |
미생물의 수질정화와 관련되는 능력을 ATP 활성시험, 호흡속도시험, 탈산소활성시험 등의 생화학적 수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미생물의 양 및 활성도 등을 통하여 파악하는 것.미세기포 (微細氣泡, fine bubble) |
산기식 반응조에서 세라믹제 또는 합성수지제 산기판, 산기통 등으로 구성된 산기장치에서 발생되는 기포. 이 형식의 산기장치에서는 미세한 기포가 발생됨. 산소이동효율이 크기 때문에 주입시키는 공기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산기장치가 막히기 쉬움.미세사 (微細砂, microsand) |
급속여과사속에 함유되는 입경이 0.3㎜ 이하인 미세한 모래. 급속여과에서는 역류세정의 결과, 성층(成層)한 미세사가 표층부에 퇴적되고, 손실수두를 상승시킴. 따라서 여과지에 새로운 여재(濾材)를 충전 했을 때, 여러 차례 역세(逆洗)를 실시해 표층부를 1~2㎝ 깎아내고, 퇴적된 미세사를 제거하는 편이 좋음.☞ 표면여과(表面濾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