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물벼룩류 (-類. Cladocera) |
갑각류 지각아목(甲殼類 枝角亞目)으로 분류되는 몸 길이 1~3mm의 동물 플랑크톤으로, 담수에 널리 분포함. 소규모 생활폐수처리시설 중 저부하로 운전되는 합병처리시설에서 소화가 충분히 진행하여 용해성 유기물 농도가 낮은 경우에 우점적으로 증식하기 때문에 양호한 수질을 얻을 수 있는 환경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생물임. Moina속(屬)(Moinadae)은 산화지에서 현탁성 세균 및 부유고형물(SS)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투명한 처리수를 얻기 위해 불가결한 생물임. 그러나 생물막 처리시설에서 이상증식이 발생하면, 활발한 활동에 의하여 생물막의 박리로 인해 처리수 중 미세현탁물질이 증가하여 처리장해를 야기하므로 제어가 필요함.물수지분석 (-收支分析, Water Balance analysis) |
한 유역의 장래 안정된 용수공급을 계획하기 위하여 장래 용수수요와 자연유량을 비교하므로서 유역내의 각 본류 및 지류에서의 물 수지를 예측하고, 필요한 경우 용수부족을 채우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댐 건설의 규모, 시기 및 위치 등을 결정하는 기초작업을 말함.물순환 (水循環, hydrologic cycle; water cycle) |
비나 눈 등의 강수는 지표에 도달해서부터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서 최종적으로는 강물이 되거나 바다나 호수로 유입됨. 해면이나 호수 면으로 부터 물은 증발해서 구름이 되고 강수를 초래함. 이러한 물 이동의 사이클을 물순환 이라고 함. 지구상의 물은 기권, 수권, 암석권의 3개에 걸쳐서 순환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대기 중의 수증기, 지표수(하천수, 호수와 늪의 물), 토양성분, 지하수, 빙하 등이 됨. 이들 물은 각각 독립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일군(一群)의 고리로서 서로 다른 과정을 통해서 순환함. 지구상의 물이 강수, 유출, 증발, 침투 등의 형태로 대기-육지-해양-대기로 이동하는 ‘자연순환’과 더불어, 현재에는 상수도-도시ㆍ산업-하수도-처리수의 재이용이라는 ‘물의 이용’과 ‘물의 정화’를 총칭함.물의오염 |
인간생활 및 산업활동에 의해 배출되는 폐수, 하수 및 분뇨 등의 영향으로 자연수역의 수질이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말함.물의특성 |
물은 대부분의 물질들을 녹이면서 그 성질이 변하지 않고 4℃이하로 온도가 내려가면서 다른 물질과 달리 부피가 늘어나며, 큰 표면장력과 부착장력 그리고 큰 비열 등의 특징을 갖음.물이용권(수리권) (水利權, water right; water privilege) |
하천 등에서 물을 이용하는 권리. ‘농업수리권’, ‘공업용수리권’ 등이 있으며, 또한 하천법에 기초하여 허가를 얻는 ‘허가수리권’과 오랜 세월의 관행에 따라 인정되는 ‘관행수리권’이 있음. 하천의 공공수역(公共水域)의 이용관계에는 하천을 일시적ㆍ공동적으로 사용하는 일반사용과 계속적ㆍ배타적으로 사용하는 특별사용이 있음. 일반사용은 하천을 그 용도에 따라서 자유롭게 사용함으로써 성립하며, 특별사용은 하천법 또는 민법에 의하여 성립. 물이용권은 특별사용의 경우에 발생함.물재생 (-再生, water reclamation) |
폐수를 무해화 하여 방류하는 것으로부터 진일보하여 고도처리 또는 지표수, 지하수로 환원시켜 유용할 목적으로 폐수를 회수하는 것. 물의 재생으로 수자원이 절약되며, 최종적인 배수를 소량으로 그리고 고농도로 할 수 있어 처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방류지점의 오염부하를 감소시킴.물질대사 (物質代謝, metabolism) |
생물의 체내에 있어서 물질변화의 과정. 생물은 물질대사에 의하여 생체 구성재료를 합성(동화)하거나,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획득(이화)함.물질수지 (物質收支, mass balance; material balance) |
물질의 유입ㆍ유출에 대한 수지. 프로세스나 시설의 효율이나 기능을 확인하는 경우나 오탁물질의 제거특성이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용됨.물질순환 (物質循環, matter cycle) |
특정 물질이 대기, 물 및 토양권을 이동, 순환하는 것. 인간활동에 따라 방출된 물질이 자연계나 특정한 계에서 매체의 움직임이나 먹이연쇄 등에 의하여 이동하는 모양이나 현상을 물질순환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