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무부하전압 (無負荷電壓, no-load voltage) |
정격 주파수에서 변압기의 1차 권선에 정격입력전압을 가하고, 모든 2차 권선을 개방하였을 때에 각 2차 권선에 유도되어 발생하는 전압.무산소성 (無酸素性, anoxic) |
분자상 산소는 없으나, 소화이온으로서의 결합형 산소는 존재하고 있는 상태로 혐기성과 호기성의 중간 상태를 말함. 생물학적 탈질 과정에서 무산소조가 이 상태에 해당됨.무산소조 (無酸素槽, anoxic tank) |
생물학적 질소 제거법에서 탈질을 하기 위하여 무산소성 상태로 만든 조.무성방전법 (無聲放電法, silent electric discharge) |
오존발생법의 하나. 2개의 금속전극 사이에 유리 혹은 세라믹 등의 부도체를 끼우고, 산소함유기체(공기, 산소가스)를 이 전극 사이에 흘리면서 교류고전압을 가하면 전극 사이에 다량의 방전이 발생하고, 전자와 산소분자와의 충돌이 일어나 화학반응에 의해 오존이 발생함. 무성방전법 이외의 오존발생법에는 전해법, 광화학반응법, 방사선조사법, 고주파전해법 등이 있으며, 공업규모의 오존발생법으로서는 무성방전법이 널리 실용화되어 있어 주류를 이룸. ☞ 오존처리법, 오존발생법무소음말뚝공법 (無騷音杭工法, non noise pilling method) |
소음이 나지 않은 말뚝박기 공법. 주거 밀집지역 등에서 말뚝 박는 소음이 부근 주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채용된 공법으로 인접건물에 근접시공이 가능함. 압입식, 칼 웨드식, 윌리엄스식 등이 있음.무수량 (無收量) |
송수량과 유수량의 차를 말함.무수수량 (無收水量, unaccounted-for water; non-revenue earning water) |
급수량 가운데 요금징수의 대상이 되지 않는 수량. 수도사업용수량, 계량기 불감수량, 소화용수량 및 부정수량을 말함. 유효무수수량(有效無收水量)이라고도 함. ☞ 유수수량(有收水量)무수율(無收率) |
① 무수수량을 배수량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함. ② 일반적으로 누수나 도수 및 기타 원인으로 수요가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누수되어 버린 수량의 비율로써, 보다 엄밀하게 말하면 총생산량 중에서 요금수입으로 받아들여진 수량을 제외한 나머지 수량의 비율임. 즉 유수율의 반대 개념을 뜻하며, 유수율과 무수율을 합하면 1이 됨.무수프탈산 (無水-酸, phthalic anhydride) |
화학식은 . 공업적으로는 나프탈린 또는 크실렌을 산화바나륨 촉매 등을 사용하여 400~460℃로 공기산화하여 제조함. 무색침상(無色針狀) 또는 판상의 결정. 승화성이며 특이한 냄새가 있음. 융해점은 131~132℃이고 물에 약간 용해되며 가수분해하여 프탈산이 됨. 유기합성 원료로서 용도가 넓고 오염물질의 하나임.무약주탈수법 (無藥注脫水法, chemicals-free dewatering; non-chemicals dewatering method) |
슬러지를 탈수할 때에 석탄이나 고분자응집제 등의 약제를 첨가하지 않고, 슬러지를 그대로 탈수하는 방법으로 경제적이며 케이크 처분상 유리함. ☞ 가압탈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