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미량원소 (微量元素, trace element) |
특정 물질계에서 주요 구성원소가 아닌 원소의 총칭. 농도에 관하여 일정한 기준은 없음. 예를 들어 철은 생물체에 관하여는 미량원소이나 암석에 있어서는 주요원소임.미량증식인자 (微量增殖因子, trace growth factor) |
미생물의 증식을 위하여 필요한 유기성 영양물질 중 다른 탄소원에서는 합성되지 않는 세포 유기물질의 전구물질 또는 구성물질. 주요 미량증식인자로는 아미노산, 프린, 피리미진 및 비타민이 있음.미량화학물질 (微量化學物質, trace chemical substance) |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화학물질.미립자 (微粒子, particulate) |
공기 중에 부유하는 0.1이하의 입경을 가진 입자. 고체 또는 액체의 미립자는 자연적으로 또는 생산이나 기타 인간활동의 결과로 발생됨.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오염물과 함께 폐에 침범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주고 시정(視程)을 감소시키며, 건조물의 오염이나 피해를 일으킴. 연평균 75이하가 바람직함.미립자계 (微粒子計, particle counter) |
일반적으로 수중 입자의 입자경과 개수농도를 측정하는 장비.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센서내의 유로에 광선을 조사해, 조사영역을 통과하는 입자에 의해 초래되는 산란광량으로부터 입경과 개수를 구하는 것임. 액체속의 산란광강도는, 조사광의 파장, 입자나 매질의 굴절률, 매질의 성질에 좌우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입경이 같아도 장치의 방식에 따라 측정결과가 달라짐. 따라서, 사용에 대해서는 계기의 최소측정가능입경, 입자경분해능, 계수(計數)가능농도 등의 성능을 충분히 지켜볼 필요가 있음. 1보다 작은 입자의 측정에는 광원(光源)에 레이저가 사용됨.미보급지역 (未普及地域, non-water supply district; unserved area) |
수도사업체의 급수대상구역에 속하지 않 때문에 수돗물의 공급을 받는 것이 불가능한 지역. 또, 급수구역 내라도 재정상, 지형상 혹은 물리적 이유 등에 의해 배수관이 포설되지 않아 수돗물의 공급을 받을 수 없는 지역도 미보급 지역이라고 함. ☞ 급수구역미분간섭현미경 (微分干涉顯微鏡, differential interference microscope) |
빛의 간섭을 이용해서 시료의 미소(微小)한 요철이나 광학적 두께 차를 명암이나 색의 차로서 관찰할 수 있는 광학현미경의 하나. G.Nomarski에 의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Nomarski-미분간섭현미경이라고도 함. 이 현미경은 분해능이 높고, 비교적 두꺼운 시료도 전자현미경의 릴리프효과와 같이 입체적인 구조가 되기 때문에, 세포분열 등 생체세포의 여러 가지 운동이나 구조를 관찰 해석하는 데에 적합해 의학, 생물학의 분야에서 보급되고 있음.미분동작 (微分動作, differentiating action) |
자동제어에 있어서 D동작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입력의 시간 미분치에 비례하는 크기의 출력신호를 내는 제어동작을 말함. ☞ 조절계(調節計), PID제어미분탄 (微粉炭, pulverized coal) |
입경 3mm 이하의 석탄. 미분탄을 사용한 슬러지의 침강성 및 탈수성의 개선기술이나 연료화 기술이 개발되어 있음.미생물 (微生物, microorganism; microbe) |
육안으로는 관찰할 수 없는 생물의 총칭. 특별히 명확한 범위는 없고, 일반적으로 세균, 곰팡이, 효모 외에 미세한 조류, 원생동물, 리케차, 바이러스 등을 포함함. 이들은 기본적으로는 다른 여러 생물의 집합이고, 핵의 유무, 증식법, 편모나 세포벽의 구조 등이 크게 다름. 병원성(病原性)을 갖기도 하지만, 발효산업에 이용되고 인간에게 유용한 것도 많이 존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