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엔도살 (endothall) |
카르본산계 제초제로 물에 대한 용해도는 수화물이 100g/l, 또한 니카리움염에 대해 용해도는 1.228g/l임. 이에 따라 액상형과 입상(granular material)으로 사용가능함. 물고기에 매우 민감하므로 주의가 필요함.엔도톡신 (endotoxin) |
내독소를 말함. 외독소와 산균이 고분자물질을 합성하여 균체 밖으로 방출하는데 대해 엔도톡신은 균의 사후에 유리됨. 성분은 대장균, 적리균, 살모넬라균 등의 그람음성균 세포벽 외막성분 리포다당류(LPS)와 단백질의 결합체임. 엔도톡신은 발열성 물질의 대부분을 점하고 있어 주사용 증류수, 백신, 혈액제제, 의료용도구 등에 발열시험이 정해져 있음. 발열시험은 소의 정맥에 주사한 후 일정 시간 후에 체온의 상승정도를 측정함.엔드린 (endrin) |
무색의 결정성 고체로 분자식은 이고, 분자량 380.93임. 융점 245℃, 증기압 ㎜Hg(25℃), 비중() 1.7이고, 물에 불용이며, 용해도는 아세톤 170g/l, 벤젠 183mg/l, 사염화탄소 33g/l, 헥산 127.1g/l임. 과수 해충, 야채의 나방 애벌레, 진딧물 등 광범한 해충에 유효한 살충제이며, 세계자연보호기금은(WWF)이 환경호르몬으로 규정하고 있음. 1972년 제조됐으나 사용을 금하고 있음. 잔류기준은 검출되지 않아야 함. 잔류성이 높아 사용 중지 후 10년이 지나서도 뿌리채소에서 검출됨. 급성독성()은 흰쥐 경구투여로서 7.5∼17.5임.엔테로바이러스 (enterovirus) |
기본적으로는 장에서 증식해 분변 중에 장기간 바이러스가 배출되는 것에서부터 이 명칭이 붙었음. 바이러스의 유래는 엔테로바이러스는 폴리오바이러스(1~3형), 코크사키 바이러스 A군(1~24형), 동 B군 (1~6형), 및 에코 바이러스(1~33형)로 분류되고 있음. 그 후 추가된 바이러스는 번호로 분류하고 있으며 현재 68형 이후 71형까지 등록되어 있음.엔테로박터 (enterobacter) |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세균의 속명의 하나를 말함. 그람음성으로 무포아 간균. 대장균군 양성균의 상당한 부분을 점하고 있음. 병원성은 기본적으로는 없지만, 기회감염, 원내감염의 원인이 되는 일이 있음.엔테로톡신 (enterotoxin) |
장독소. 당초는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포도상 구균의 세균이 고분자물질을 생합성하는 하는 구토원성 독소로 알려져 있지만 같은 증상을 나타내는 콜레라균이나 웰슈균이 발견되어 현재는 설사성의 독소전반을 나타내는 술어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음. 독소생성 원인균에 대해서는 독소의 성상, 활성, 작용기전이 다르기 때문에 원인균의 이름을 붙여 사용하고 있음. (예엔트로피 (entropy) |
물질계(物質界)의 열역학(熱力學)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양(量)의 하나. 열의 이동에 따라 엔트로피도 이동하는데 그 수치(數値)는 이동한 열량을 절대 온도로 나눈 것으로 나타냄.엘리멘트 (element) |
막과 지지체 및 유로재 등의 부재를 일체화하여, 하우징(housing)에 수납하도록 조립된 것을 말함. spiral형 element, 중공사형 element, 관현 element와 평막 disk형 element등이 있음.엘리미네이터 (eliminator) |
공기세정기, 냉각탑, 분무탑 등에 설치하는 것으로, 지그재그로 접어 굽힌 아연 철판을 좁은 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틈으로 공기나 가스가 통과하면 배플 플레이트가 되어 물방울을 제거함.엘보 (elbow) |
관(管) 속을 흐르는 유체의 방향을 갑자기 바꾸는 장소에 사용하는 관이음. 가단주철(可鍛鑄鐵) 또는 청동, 황동으로 만들어지는데, 관과 접속시키기 위해 그 양 끝에 암나사를 내어 90° 각도를 이루는 것이 보통임. 이 밖에 45° 엘보, 수나사 엘보, 스트리트 엘보, 45°스트리트 엘보, 다른지름 엘보 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