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에어필터탱크 (air filter tank) |
에어필터 유닛 또는 에어필터 모듈을 겹쳐 놓은 것. 클린 룸 등에서는 HEPA 필터 또는 ULPA 필터를 벽전체면 또는 천정에 설치하고 깨끗한 공기를 일정한 속도의 1방향류가 되도록 한 에어필터 장치.에오신-메틸렌블루배지 (eosin-methylene blue medium) |
☞ EMB 배지에임스시험 (ames test) |
☞ 변이원성시험에코바이러스 (echo-virus) |
에코바이러스라 하고, 배양세포에 변성효과(變性效果)를 보이는데, 원래의 병이 불분명한 데서 이름을 붙인 것임. 수막염이나 뇌염, 유아의 설사증이나 발진성 열성질환 등을 일으키는 것이 알려졌음. 지름 30 내외인 구형 바이러스로 혈청학적으로 28형으로 구별됨.에키노코쿠스 (echinococcus) |
가축 등에 기생하는 3∼6mm인 촌충. 단포촌충(單包寸蟲)과 다포촌충(多包寸蟲)의 2종이 있음. 단포촌충은 세계 각지, 특히 목양ㆍ목우가 성한 지방에서 볼 수 있음. 소ㆍ양ㆍ산양이 중간숙주이며, 개ㆍ늑대가 최종숙주임. 다포촌충은 알래스카 등 한랭지(寒冷地)에 주로 분포함. 쥐ㆍ다람쥐가 중간숙주이고, 여우ㆍ개가 최종숙주임. 사람은 중간숙주가 됨. 충란(蟲卵)을 중간숙주가 먹으면 십이지장에서 부화되어 나온 유충은 장벽을 침입하고 혈류(血流) 또는 림프구를 통하여 전신의 여러 장기나 조직에 이행하여 포충(包蟲)으로 발육함. 포충형성 장소로는 간이나 폐가 많음. 포충은 발육하는 곳에 따라 포충액과 더불어 포낭에 내장되는데, 포낭은 서서히 증대하여 다시 모포낭 내부 또는 외부에 새로운 포낭을 만들고 이들 포낭 내벽에 몇 개, 많을 때에는 30개에 달하는 머리마디가 형성됨. 최종숙주가 이들 포충이 기생하는 장기를 먹으면 감염됨. 사람의 포충증은 포충의 기생장소에 따라 다르지만, 그 주위를 결합직성(結合織性)의 피막이 둘러싸고 건강한 주변 조직과 격리되어 있으므로 몇 년 또는 십수 년 후에 비정상으로 커져서 인접 조직을 압박하게 됨. 포충이 뇌에 기생하면 위중한 증세를 나타내며, 폐포충증에서는 각혈, 간포충 증에서는 간종(肝腫)이나 황달 등이 됨. 포충이 골조직을 침범하면 흔히 골절을 일으킴. 사람은 감염된 개와 접촉, 오염수를 마시면 감염됨.에탄올 |
☞ 에틸알콜에탄올아민 (ethanolamine) |
분자식은 . 에틸렌옥시드와 암모니아의 반응으로 만들어지고 모노(mono)와 트리에탄올아민이 얻어짐. 무색, 암모니아 냄새가 있음. 약간 점성을 가지며, 물보다 무거운 액체이고 유독하며, 비등점 170.5℃, 비중 1.0179. 물, 에탄올 등에 완전히 용해됨. 흡수성이 크고 황화수소, 탄산가스 등의 산성가스의 흡수제로서 중요함.에탄올아민가스처리법 (-處理法, ethanolamine gas treating process) |
가스중의 황화수소, 탄산가스를 에탄올아민 수용액으로 흡수 제거하는 방법. 천연가스, 석유정제 폐가스의 정제에 이용됨. 통상 회수한 황화수소는 산화하고 유황으로써 회수함. 황화수소로부터 유황을 회수하는 중요한 방법임.에트리디아졸 (etridiazol) |
토양살균제로, 분제, 수화제가 있음. 야채, 잔디 근부(根腐)의 방지와 토양처리제로서 사용됨. 증기압이 높으니까 가스화하여 토양 내로 확산하여 토양입자에 흡착 지지되고 근처로부터 흡입되어 효과를 보임.에틸렌디아민 (ethylenediamine) |
1,2-디아미노에탄이라고도 함. 화학식 . 강알칼리성이며, 분자량 60.1, 녹는점 8.5℃, 끓는점 116~117℃. 물에 녹아 수화물을 만듬. 메틸렌디아민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에틸렌디아민은 안정한 디아민류 속에서는 가장 간단한 것임. 이염화에탄과 28% 암모니아수를 10atm으로 압축하여 110℃로 반응시키면 얻음. 금속원자에 배위(配位)하여 착염을 만들기 쉬우므로 금속이온의 분석시약(分析試藥)으로 사용됨. 또, 유기합성원료, 섬유처리제, EDTA, 수지 등의 제조원료로 널리 사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