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에어레이션변법 (-變法, modified aeration method) |
폭기시간을 단축하여 혼합액 중 MLSS 농도를 낮게 운전하는 활성슬러지법 변법 중 하나.에어레이션침사지 (-沈砂池, aeration grit chamber) |
침사지 밑부분에 산기장치를 설치하고 공기를 침사지 내의 하수 속에 보낸 다음 선회류를 일으켜 그 원심력으로 무거운 입자를 분리함. 토사의 세정으로 침사에 포함된 유기물이 적어지는 것이 특징임.에어로졸 (aerosol) |
대기 중에 부유하는 고체 또는 액체의 미립자. 기교질(氣膠質), 연무질(煙霧質), 대기오염물질 등이라 하기도 함. 에어로졸은 ① 지구 표면에서 생기는 것(연소에 의하여 생기는 연기, 바람에 의하여 날려올라가는 사진(砂塵), 화산의 분연(噴煙), 꽃가루나 박테리아 등), ② 대기 중에 생기는 것(운립(雲粒)이나 무립(霧粒), 뢰방전(雷放電)에 의하여 생기는 질소화합물, 항공기의 배기물 등), ③ 지구 밖으로부터 오는 것(유성진(流星塵) 등)으로 나누어진다.에어록 (air lock) |
공기록이라고도 함. 공기케이슨에 사용하는 기구의 일종으로 출입구에 설치하여 외기압과 작업 공기압의 조정을 하는 곳. 록에 들어갈 때에는 록의 아랫문을 닫아 압축공기를 차단하고 윗문을 열고 들어감. 다음에 윗문을 닫고 록 내에 압축공기를 넣어 작업실 내와 같은 기압이 된 뒤 아랫문을 염. 나올 때는 이와 반대로 함.에어리프트 (air lift) |
양수의 일종으로 액체에 공기를 주입시킬 때 밀도가 적어지는 것을 이용하여 양수하는 방법. 유량을 대체로 7.5m까지, 최대 12m까지 양수시킬 수 있으며, 이 공법으로 토목분야에서는 리버스 공법에 의한 대구경 기초의 굴착에서 발생된 암편(岩片)이나 토사의 배출에 이용됨.에어리프트펌프 (air lift pump) |
양수 펌프의 하나로, 물속에 세워 넣은 파이프의 바닥에 공기의 기포(氣泡)를 불어넣어 물을 높은 곳으로 끌어올리는 장치. 1797년 독일의 기술자 C.E.레셔가 고안하였고, 1880년 미국의 J.P.프리젤이 특허를 얻어 실용화하였음. 구조가 간단하고 운동하는 기계 부분이 없으므로 고장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으며, 더러운 물을 뿜어낼 때에는 공기세정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어바인딩 (air binding) |
여과의 진행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플로크가 약품에 의하여 흡착력을 가짐으로써 일어나는 것으로 여과의 진행에 따라 사층(砂層)중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말함.에어스트리핑 (air stripping) |
물에 대해서 수용성, 또는 난용성의 휘발성 용존물질의 성질을 이용해서 물(액체)에서부터 대기(기체)중으로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서 용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기체로서 공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에어스트리핑이라고 함. 희박용액에 있던 휘발성 유기화학 물질의 기체에서의 농도는 일정 온도조건하에서 액체 중의 농도에 비례해서 변화됨. 이 거동은 헨리의 법칙으로서 알려져, 헨리상수에 큰 성질 등 에어스티리핑으로 제거되기 쉬움. 지하수 중에 유기염소화합물 중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은 비교적 제거하기 쉽지만, 1, 2-디클로로에탄은 제거하기 어려움.에어쳄버 (air chamber) |
공기의 탄력성을 이용해서 급수장치의 관로의 중간과 말단의 기구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수격을 완충하는 장치. 공기실형, 고무형, 벨로우즈형, 피스톤형, 다이어그램형 등이 있음.에어필터 (air filter) |
여과에 의해 공기를 청정화하는 기기 장치. 매트형, 쐐기형, 접어넣기형, 바구니형, 주머니형, 패널형, 박스형 등의 유닛형 에어필터, 자동갱신형, 자동감기형, 자동접기형, 자동재생형, 멀티패널형 등의 자동적으로 갱신, 세척을 하는 에어필터 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