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Auracoseira |
원통모양의 세포가 종으로 연결된 사상의 군체를 형성한 규조류 속의 일종의 하나. 호소나 저수지의 플랑크톤으로 흔히 발견되며, 대량번식하여 여과폐색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여과장해 생물로서 A.italica 나 A.granualta, A.distans 등이 대표적인 종임. 동일 모양으로 원통형의 세표가 종으로 연결된 군체를 형성하는 melosira 속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세포 껍질의 형태적 특징이나 연쇄모양의 군체를 만드는 세포 연결의 방법이 melosira 속과 다른 것으로부터 다른 속이라는 것이 이전부터 지적되었음. 또한, melosira 속으로는 m.varians가 수원의 부착조에 있는 완속여과지의 생물막의 구성생물로서 번식하고 있으며 수도와 관련이 깊음.AWWA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
미국수도협회A형간염바이러스 (hepatitis A virus, HAV) |
숙의 간염을 하는 장광계의 바이러스의 하나로 해파토 바이러스과에 분류됨. 히트가 감염하면 1개월 정도의 잠복기간을 거쳐 감염(A형 감염)을 발생시키고 간기능 장애를 일으킴. 환자의 익편에는 잠복기의 후반부터 바이러스가 배제되게 되며, 수개를 바이러스로 오염시킴. 이처럼 오염된 물과 음식물의 섭취에 의해서 감염이 확대되고 더욱 큰 유행을 일으킴.A형계수 (A-type mechanical joint) |
수철관용 기계적 이음매. 수구의 삽구를 삽입해 고무틀을 쌓아서 T형 볼트를 사용해 감륜으로 고무링을 조이는 방법으로 계수의 기본형임. 수구내면과 삽구외면의 고무링을 접촉부를 구조로서 고무링 단면형상으로하여 수밀성을 얻음. 신축성, 가소성이 있고, 관과 직각 방향의 변이를 흡수하고, 관로를 유구조로 함. 이와 같이 구조에 K형 계수와 신축이탈방지 기능을 가진 NS형 계수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현재는 거의 제조되지 않고 있음. ☞ 수구, 감륜, 메카니컬 계수B.T.O방식 (-方式, build transfer operate) |
사회간접자본시설의 준공과 동시 당해 시설의 소유권이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되며, 사업 시행자에게 일정기간의 시설 관리운영권을 부여하는 방식B.T.U (1 Mean-British Thermal Unit) |
에너지 열량 단위. 1.07661×102 mㆍkg.bar screen |
평평한 철을 격자상에 조립하고 수로 안에 장치한 것으로, 수중의 협잡물을 제거하고, 펌프에 막혀 있는 것을 없애는 목적이 있음. 협잡물의 끌어올리기 방법으로서는 수동식, 기계연속식 등이 있음.BAT (best available technology) |
미국에서는 합성유기화합물 등의 최대허용농도(maximum contaminant level; MCL)를 설정할 때, 그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처리방법만이 아닌 비용이나 수도사업체의 사정도 고려한 최선의 처리기술(best available technology)을 규정. 그들의 처리기술을 일반적으로 머리글자를 따서 BAT라 함.BCYE-α한천배지 (-寒天培地, BCYE-α agar) |
레지오넬라속균을 배양하기 위한 비선택배지. 레지오넬라의 배양에는 원칙적으로 L-시스테인이 필수이고, L-시스테인을 포함하지 않는 배지에는 발육하지 않음. 본배지는 영양원으로서 효모유출물을 포함하고, 필수성분인 L-시스테인 외에 배지 속에 존재하는 발육저해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분말활성탄, 일정한 pH범위를 유지하기 위한 pH완충제, 증식촉진원자로서 철화합물이나 α케토글루타르산 등이 첨가되어 있으며, 레지오넬라속균의 검출이나 분리, 유지용 등에 널리 사용됨. 단, 선택성이 없기 때문에 협잡미생물이 많은 시료로부터의 분리에는 적합하지 않음. ☞ WYO-α한천배지(WYP-α寒天培地)benchmarking |
새로운 경영기법의 하나로 자사의 근본적인 구조개혁을 진행하기 위해 업계에서 우위에 있는 기업의 최고 실천방법을 조사하고, 그것을 향해서 자사의 혁신을 최고수준으로 높이는 방법. 이 때 목표가 되는 경영지표를 벤치마킹이라 하고, 현상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해 업무개선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