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bench-scale study |
일반적으로 어떤 기술의 실용성 여부를 알기 위해서 대체로 실험실에서 소규모 시험방치를 이용해서 실행하는 시험을 말함. 예를 들면, Jar test 등이 이에 해당함.BG-11배지 (-培地, BG-11 medium) |
남조류배양용 배지. AGP시험에 사용하는 공시조류의 보존배양에서, AAP배지 대신에 Microcystis aeruginosa 배양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 또, 배양에 의한 형태 및 증식방법의 특징으로부터 남조류를 분류하는 Rippka 등의 학설에서는 이 배지를 이용해서 검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음.BHC (benzene hexachloride) |
1943∼1945년경에 개발된 강력한 유기합성 살충제. 화학식 . 육염화벤젠 또는 벤젠헥사클로리드라고도 함. 과거 세계 각국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음. 시클로헥산 고리의 6개의 탄소원자에 각각 염소원자가 하나씩 결합되어 있는 입체이성질체의 종합적인 이름. BHC에는 이론적으로 16개의 입체이성질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나, 그중 몇 가지는 매우 불안정한 구조를 가지므로 실제적으로 존재하지 않음. 현재까지 발견된 BHC의 입체이성질체는 7종의 이성질체가 있음. ☞유기염소계농약(有機鹽素系農藥)BHC (gamma BHC) |
빛을 쪼여 염소와 벤젠을 반응시켜 만든 유기화합물로 농약의 일종으로 농약 관리법에 의해 작물 잔류성 농약으로 지정되어 있음. BHC에는 ,,, 등 7종류의 이성질체(조성은 같지만 구조가 다른 물질)가 있음. 이중의 한 이성질체가 린덴 또는 가멕산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살충제. 1825년 처음으로 만들어졌으며, 1944년에는 γ-이성질체가 이 반응에서 생기는 다른 이성질체보다 약 1,000배나 더 독성이 강한 살충효과가 있다고 확인됨. 각 이성질체는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고리에 염소원자가 어떤 방향으로 붙어 있느냐에 따라 구조적으로 구분됨. 벤젠을 염소와 첨가반응을 시키면 BHC의 가능한 8개 이성질체 중 6개 이상의 이성질체가 포함되어 있는 혼합물이 만들어지며, 그중 γ-이성질체가 20~25%를 차지하는데, γ-이성질체는 특정 용매에 다른 이성질체보다 더 잘 녹아 농축된 형태로 추출될 수 있음. BHC는 DDT보다 휘발성이 크고 곤충에 살충효과가 더 빠르게 작용하지만, 지속성은 떨어지며, BHC는 다른 살충제들이 경쟁적으로 생산되고 물 속에 단 1ppm 정도만 있어도 물고기를 죽이기 때문에 사용이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1960년대 이후에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음.bio-assay |
☞ 생물검점bio-solids |
재이용 가능한 하수슬러지 지칭.blowoff valve (泥吐弁, blowoff valve, scour valve) |
슬러지를 포함한 오수를 압송하는 경우, 관로가 낮은 레벨에서 급격하게 상승하는 개소에 있어서, 관저에 침전한 슬러지나 모래를 관외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한 밸브를 말함.blow-off (泥吐管) |
관로의 낮은 곳에서 시설하고, 송배수관내의 청소나 수리를 할 때에 관내의 토사나 물을 배제하기 위한 특수한 T자관.BLT (build-lease-transfer) |
☞ 민영화(民營化)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
수중 유기물이 생물화학적으로 산화되는데 필요한 산소량을 일컫는 말로,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이라고도 함. 생물화학적 산화는 수중 호기성 미생물이 유기물을 영양원으로 하고, 수중 산소를 소비해 에너지화, 생명유지, 증식할 때, 유기물이 생물학적으로 산화분해되는 것을 말하고, 유기물이 많을수록 소비되는 산소양이 많아짐. 따라서 BOD가 높은 것은 그 수중에 유기물이 많다는 것을 나타내고, COD(화학적 산소요구량)와 함께 수질오염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임. BOD는 시료를 20℃, 5일간 정치(靜置)하고, 정치전과 후의 용존산소량을 윙클러법으로 측정해 그 사이에 소비된 용존산소량(㎎/L)으로 나타냄. 또, BOD는 제1단계의 C-BOD(탄소화합물의 산화분해에 의한 산소소비)와 제2단계의 N-BOD(질소화합물의 초화(硝化)에 의한 산소소비)로 구성되고, 표준적 측정조건(20℃, 5일)에서는 N-BOD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짐. 그러나, 하천수 등에 있어서 초화세균수가 많으면, 그 초화작용에 의해 N-BOD는 큰 오차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