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역동도 (易動度, electrophoretic mobility) |
전하입자가 고체, 기체, 액체에서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 전하입자의 이동속도 v와 전기장의 강도 E와의 관계는 v=ME에서 M은 역동도. 물속에서 역동도(M)는 다음식과 같이 나타내어짐. M=lA/tiR _{5} 여기서, M 입자의 역동도(μm/s/V/cm), t시간 동안 입자가 영동되는 거리(μm), A 전위구배에 직각방향의 셀의 단면적(), t 입자가 거리 에 영동되는 시간(s), 셀 중에 흐르는 전류(A), 현탁액의 비저항(Ωㆍcm). 정수처리의 분야에서의 역동도는 제타전위보다 쉽게 계측할 수 있는 입자의 계면 전기화학적 지표로서 이용함. 역동도의 설정은 보통 현미경 영동법을 이용하여 행함.역류방지 (逆流防止, backflow prevention) |
수도관과 이종관과의 접합에 의한 크로스커넥션상태 또는 수면에 접근한 토수구에서 역압(급수하는 압력보다 말단의 압력이 높은 상태) 또는 부압을 원인으로 하는 역류에 의해 관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말함. 토수구공간은 신뢰성이 가장 높은 역류방지방법이며, 그밖에도 역류방지기를 사용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음.역류방지밸브 (逆流防止-, check valve; non-return valve) |
밸브체가 유체의 배압에 의해 닫혀, 역류를 방지하도록 작동하는 밸브.역류방지성능기준 (逆流防止性能基準) |
☞ 급수관 및 급수용구의 성능기준역류세정 (逆流洗淨, backwashing; backwash) |
여층 세정방법의 한 방식으로서 보통 여과와는 반대로 집수장치로부터 여층 방향으로 물을 흘려 여재를 세정하는 것으로 역세라고도 많이 불림. 일반적으로 표면세정 또는 공기세정과 함께 동시에 실행. 역류세정의 작용은 2단계로 이루어지며, 1단계에서는 여층이 유동 상태가 될 때까지 역세수를 흘려보내 여재 상호의 충돌마찰이나 물의 전단력으로 부착탁질을 분리하고, 2단계에서는 여층으로부터 탈리된 탁질을 트러프에서 배출함. 급속여과지에서는 일정 세정간격을 두고 역세를 실시.역류세정배수트러프 (逆流洗淨排水-, backwashing drainage trough) |
역류세정을 실행할 때 여층으로부터 배출된 탁질을 함유하는 역세배수를 신속히 여과지 외로 배출시키는 배수설비. 간단히 역세배수트러프, 세정배수트러프 및 세정트러프 등으로 불리기도 함.역류세정팽창식 (逆流洗淨膨脹式, equation of bed expansion in backwashing) |
역세팽창식이라고도 함. 여과지 등을 역류세정할 때의 여층(활성탄층 등을 포함)의 팽창률을 나타내는 식역류세정펌프 (逆流洗淨-, backwashing pump; backwash pump) |
역류세정을 실행할 때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 간단히 역세펌프 또는 세정펌프라고 불리기도 함. 펌프를 이용해 세정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물을 단기간에 양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상당히 큰 용량의 펌프가 필요. 그 밖에 역세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세정 고가탱크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음.역류세척 (逆流洗滌) |
여과지 하부에서 압력정수를 역송시켜 여과층을 세척하는 것을 말함.역률개선 (力率改善, power factor improvement) |
지상역률(遲相力率) 부하가 소비하는 무효전력을 전력 콘댄서 등 진상역률(進相力率) 부하를 투입하여 보상하고, 전원 측에서 본 역률을 100%로 근접시키는 것. 역률개선을 실시하면 전압강하나 손실을 경감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