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여유고 (餘裕高, free board) |
지(池) 또는 탱크의 수면에서 시설의 상부 끝까지의 높이. 여유고가 필요 이상으로 높으면 건설비가 증대하며 유지관리상 불편하고, 반대로 여유고가 너무 낮으면 수위변화 또는 풍파에 의해 월류할 위험이 있음. 따라서 하수도시설기준에서는 침전지수면의 여유고는 40~60cm정도로 하며, 포기조에서는 표준식은 80cm정도를, 심층식은 100cm정도를 표준으로 함.여재 (濾材, filter media) |
여층을 구성하는 입상물질로서 모래, 안트라사이트 등이 일반적임. 유효경, 균등계수, 비중 등으로 규격을 정함. 살수여상을 구성하는 재료도 여재라고 함.여지 (濾紙, filter paper) |
종이로 만든 여과재. 다른 여과재와 비교해서 여과속도가 빠름. 원료는 주로 면섬유. 재질은 1장당 거의 균일하고, 무기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음. 물 등 각종용매에 강하고, 산이나 알카리에도 어느 정도 견딤. 형태, 크기, 두께, 용도 등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음. 원형이 일반적이지만 페이퍼 크로마토그래피용과 같이 장방형인 것도 있고, 다른 형태도 있음. 정성분석용 여지와 정량분석용 여지가 있음여층 (濾層, filter layer; filter bed) |
입상여재를 깔아서 채운 층. 여과층 또는 여상 이라고도 함. 여층을 지지하는 지지층 등을 포함해서 여상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여층공극율 (濾層空隙率, porosity of filter bed) |
입상여재에서의 공극률 ☞ 공극률여층두께 (濾層-, filter layer depth; filter bed depth; filter depth; depth of filter bed) |
여과지 내에 깔아 넣은 여재의 두께. 여상두께라고도 함. 일반적으로 여층 두께는 급속여과지에서는 600~70cm, 완속여과지에서 70~90cm임.여포 (濾布, filter cloth) |
액체나 기체에서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직포여과재로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테프론 등 합성섬유가 많이 사용되고 있음. 능직, 평직 등 여러 가지 짜는 방식이 있음.여포세정 (濾布洗淨, filter cloth washing) |
가압탈수기나 진공탈수기에 사용되고 있는 여포가 눈 막힘을 일으킨 경우, 이것을 세정, 재생하는 것. 여포는 탈수공정을 몇 번 반복하면, 여포의 표면이나 내면에 부착물이 많아지고, 탈수 효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일정시간마다 여포의 표면, 내면을 고압력 물 등으로 세정하는 조작이 필요함.역간접촉산화법 (礫間接觸酸化法, gravel contact oxidation process) |
오탁된 하천수의 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방법. 겹친 자갈사이에 하천수를 천천히 흐르게 하여 자갈에 부착된 생물막을 이용해서 유기물, 암모니아, 현탁물질 등을 제거. 보(堰)에 의해서 자갈층의 유하에 필요한 수두를 만들면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음. 자갈층의 위는 토양복개에 의해서 이용가능함.역기전력 (逆起電力, counter electromotive force; back electromotive force) |
전기기기 등의 전기회로에 전압을 가하여 전력을 공급할 때 전원전압을 내리도록 작동하는 기전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