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328개의 용어가 검색되었습니다.
슬러지발생량 (-發生量, sludge amount) |
폐수처리설비의 운전에 의하여 생산되는 슬러지 양. 슬러지발생량은 생산된 케이크의 함수율에 의하여 양이 변화하는 것으로 함수율을 병기하는 것이 일반적임.슬러지벌킹 (sludge bulking) |
슬러지의 비체적이 커져 쉽게 농축되지 않는 현상으로, 폐수의 pH가 너무 낮거나 용존산소 또는 질소성분이 모자라 박테리아 대신 실모양의 곰팡이류(fungi)가 많이 번식하면 일어나는 현상.슬러지부상농축조 (-浮上濃縮槽, sludge floating thickener) |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수면으로 부상시켜 농축시키는 방법.슬러지블랭킷 (sludge blanket) |
침전지 내에서 슬러지가 침전지 하부로부터 이탈되어 어느 면에 층을 이루고 있는 상태. 부유물 접촉지에서 이 층을 여과층으로 이용하며, 활성 슬러지에서는 탈질소화에 의한 현상으로 문제가 생김.슬러지산처리 (-酸處理, acid treatment of sludge) |
슬러지의 농축성, 탈수성을 개선하는 방법의 한가지로 슬러지에 황산을 첨가하고 슬러지 중의 난농축성 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하는 것에 의하여, 그 농축성, 탈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단 이러한 처리에 의하여 재생 산화알루미늄이 대량으로 발생하므로 이의 처분이나 재이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슬러지성상 (-性狀, sludge dehydrator) |
슬러지의 성질이나 특성. 폐수처리시설의 운전에 있어서 슬러지의 농축성이나 탈수성을 절제하는 요인의 한가지로 슬러지 성상은 항상 일정하지는 않고, 그 변화에 반하여 처리효율에 커다란 영향을 미침. 슬러지 성상의 특성지표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항목으로 ① Al 함유량, ② 강열감량, ③ 상등수 COD, ④ 입경분포, ⑤ 입경 5㎛, 이하 함유율, ⑥ 24시간 도달농도(침강곡선) 등이 있음.슬러지세척 (-洗滌, sludge elutriation) |
슬러지가 잘 탈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약품처리, 열처리, 냉동, 방사선 처리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약품처리에서 약품소요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슬러지 내의 알칼리도를 물로 씻어내는 것.슬러지소각 (-燒却, cake incineration) |
탈수한 케이크 중에 다량의 유기물을 포함한 경우, 중유나 도시가스에 의하여 유기물을 소각하여 슬러지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슬러지소화 (-消化, sludge digestion) |
혐기성 또는 호기성균의 작용으로 슬러지 중의 유기 또는 휘발성 물질을 가스화, 액화, 무기화 또는 안정한 유기물로 변화시키는 방법.슬러지소화조 (-消化槽, sludge digestion tank) |
혐기성 또는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슬러지 중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무기화시키기 위한 탱크. 일반적으로 슬러지 감량과 안정화를 위해 혐기성 슬러지 소화탱크가 채택되고 있음.